글로벌 자산배분 5

미래에셋증권 [글로벌 자산배분] 12월 트럼프 1기와는 다른 트럼프 트레이드

미래에셋증권 [글로벌 자산배분] 12월 트럼프 1기와는 다른 트럼프 트레이드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미래에셋증권 [글로벌 자산배분] 12월 트럼프 1기와는 다른 트럼프 트레이드, 2024-12-02, 박희찬 외1트럼프 1기와는 다른 트럼프 트레이드  1) 트럼프 1기와는 다른 트럼프 트레이드- 미국 대선 이후, 미국 증시 강세 속 미국 - 미국 외 증시 차별화, 강달러 진행.- 미국채 금리도 선거 직후 상승. 하지만, 그것은 오래가지 않았고 11월말에는 대선 이전 수준으로 하락.- 2016~17년 상황과 차별적인 부분 잘 따져야 함. 당시와 반대로, 지금은 경기 둔화 및 연준 금리인하 국면. 채권시장은 이런 면을 반영하기 시작. 주식 및 외환 시장 분위기도 ..

미래에셋증권 [글로벌 자산배분] 9월 로테이션 장세, 좀더 분산된 포트폴리오로 대응

미래에셋증권 [글로벌 자산배분] 9월 로테이션 장세, 좀더 분산된 포트폴리오로 대응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미래에셋증권 [글로벌 자산배분] 9월 로테이션 장세, 좀더 분산된 포트폴리오로 대응, 2024-09-02, 박희찬 외11) 연준 금리인하 확신과 달러 약세 조짐, 그리고 주식시장 섹터 로테이션7월말 8월초 가파른 증시 조정 이후 높아진 연준 금리인하 기대는 미국 고용 및 물가 지표 추가 확인과 잭슨홀 미팅을 거치면서 확신 단계로 진입.달러 약세도 로테이션 분위기에 일조. 일반적으로 달러 약세 때는 미국보다 미국 외 증시가 더 강세를 보이는 경향이 있음.단, 달러 약세기는 일반적으로 글로벌 경기 회복 국면. 현 국면에서는 연준 금리인하가 몇 차례 누적된 ..

미래에셋증권 [글로벌 자산배분] 1월 상품 디플레이션 확산, 금리의 대반전

미래에셋증권 [글로벌 자산배분] 1월 상품 디플레이션 확산, 금리의 대반전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미래에셋증권 [글로벌 자산배분] 1월 상품 디플레이션 확산, 금리의 대반전, 2023-12-28, 박희찬 외1 상품 디플레이션 확산, 금리의 대반전 1) 연준 금리인하 기대 급상승에 주식 채권 동반 강세 - 연준 3월 금리인하 확률 90%에 근접한 상황. 앞서간 면이 있지만, 금리인하 기대가 쉽게 꺾이지 않을 것으로 보임. - 미국 디스인플레이션 기조가 선명해지고 있기 때문. 무엇보다 상품 물가 디플레이션이 이를 견인. - 인플레 뿐만 아니라, 2024년 1사분기 미국의 소비, 고용 지표들도 금리인하 기대를 유발하는 방향일 것으로 보임. - 침체 위기 유럽에서..

미래에셋증권 [글로벌 자산배분] 2월 디스인플레이션 투자전략

미래에셋증권 [글로벌 자산배분] 2월 디스인플레이션 투자전략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2월 디스인플레이션 투자전략, 2023-02-02, 박희찬 디스인플레이션 투자전략 1) 경제/정책 환경: 연준에 계속 맞서는 시장 - G20 경기선행지수 하락세 지속되면서 경기침체 가능성을 계속해서 시사. 연준 매파적 스탠스도 지속. - 하지만, 연초 증시는 강한 반등. 최근 인플레 지표 안정에 연준 금리 인상 조기 종료 기대감 확산. - 중국 경기 회복 기대감, 유로존 경기 우려 완화도 달러 약세를 야기하면서 위험자산에 긍정적 영향. - 단기적으로는 연준 코멘트보다 인플레, 고용지표 등에 시장이 더 민감한 상황 유지될 전망. 2) 자산배분: 선진국 채권 투자의견 상향 - ..

미래에셋증권 [글로벌 자산배분] 10월 연준이 바뀌기 전까지

미래에셋증권 [글로벌 자산배분] 10월 연준이 바뀌기 전까지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10월 연준이 바뀌기 전까지, 2022-09-30, 박희찬 Fed put 기대 없이 경기침체 위험에 직면한 금융시장 8월 잭슨홀 미팅, 9월 FOMC에서 연준의 고강도 긴축 의지가 연이어 확인되면서 미국채 금리 급등, 주가 급락세.미국채 2년물 금리 4.5% 수준에서 금리 상승 속도 조절 기대. 금리 상승세가 덜해지면 주가 하락세도 단기적으로 진정 가능. 다만, 주가 반등 시도가 있더라도 그것의 지속성 내지 신뢰도에 높은 점수를 부여하긴 어려움. 연준이 완고한 스탠스를 유지하는 기간 동안 미국은 경기침체에 점점 가까워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 인플레는 하향 안정화가 진행될 것..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