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투자증권 166

NH투자증권 [글로벌 투자전략] 4월호: 우려는 피크, 시장은 피벗

NH투자증권 [글로벌 투자전략] 4월호: 우려는 피크, 시장은 피벗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NH 글로벌 투자전략 4월호: 우려는 피크, 시장은 피벗 / 2025.03.26 / 김환 ▶ 개와 늑대의 시간: 정점을 향해가는 정책 불확실성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예고와 이에 대한 후폭풍이 4월 주식시장의 우려를 증폭시킬 것. 양호하던 선행지표 등이 일제히 조정구간에 진입하고 불확실성 지수 급상승 중국: 3월 이후 중국 디플레이션 및 디레버리징 압력 지속. 이와 더불어 인민은행의 완화적 행보 지연은 가파르게 상승했던 기술주에 부담으로 작용 중 EU의 정책 전환: 유럽은 독일 재정지출 확대, 경기 회복 기대감에 시장 큰 폭으로 상승. 다만 4월 이후 미국과 ..

NH [전략 인사이드] 2025.03 트럼프가 부채질한 non-US의 재정확대

NH [전략 인사이드] 2025.03 트럼프가 부채질한 non-US의 재정확대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NH [전략인사이드/경제] 트럼프가 부채질한 non-US의 재정확대, 2025.03.27, 정여경 Non-US의 재정확대 전환은 긍정적이며, 2025년 US와 non-US 성장 차이가 축소될 전망. 정책 효과는 독일의 투자 중심 정책(5,000억유로, GDP의 12% 규모)이 클 것. 독일의 인프라 투자는 한국의 EU향 IT, 시클리컬 수출에 우호적. ▶성장을 만들어내는 부채는 이롭다  코로나19 이후, 미국 경제성장률은 주요 선진국 경제성장률을 상회하는 구도를 지속 중이다. 성장을 놓쳤던 non-US 국가들은 ‘성장을 만들어내는 부채는 긍정적이다’라는 교훈..

NH투자증권 [채권(전략)] 2025.03 3월 FOMC 연준 전망치의 ‘속내’가 핵심

NH투자증권 [채권(전략)] 2025.03 3월 FOMC 연준 전망치의 ‘속내’가 핵심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NH투자증권 [채권(전략)] 3월 FOMC 연준 전망치의 ‘속내’가 핵심 / 2025.03.20 / 강승원 연준은 전망이 틀린다면 어떤 방향으로 틀릴지도 투표. 3월 회의에서 성장 전망의 하방 리스크, 실업률 전망의 상방 리스크를 지적한 위원 급등. 미국 10년은 상반기 중 4%까지 하락 가능성을 열어 둔 대응 필요. QT 2분기 종료 가능성 확대.✅통화정책 결정: 기준금리 동결 (4.50%)3월 FOMC 회의에서는 기준금리 동결 결정(4.50%). QT는 추가 테이퍼링 결정. 국채 상환 규모는 월 최대 250억달러에서 50억달러로 축소. MBS는 ..

NH [Spot Comment] 2025.03 미국 주가 급락 코멘트: 관세 공포 불확실성의 정점을 기다리는 중

NH [Spot Comment] 2025.03 미국 주가 급락 코멘트: 관세 공포 불확실성의 정점을 기다리는 중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NH [Spot Comment] 미국 주가 급락 코멘트: 관세 공포 불확실성의 정점을 기다리는 중, 2025.03.11, 김환 ▶ 아직은 관세 공포, 그러나 점차 감세로의 전환 기대 - 팩트: 3월 10일(미국시간) 트럼프발 관세 정책 불확실성에 따른 경기 비관론 확대되며 뉴욕 3대 지수 모두 급락. 다우 -2.08%, S&P 500 -2.70%, 나스닥 지수 -4.00% 기록 - 주가 하락 요인은 1) 관세 공포 따른 경기 둔화 우려, 2) 경제지표 부진, 3) 독일의 재정 확대 기대감 약화 등으로 요약 가능. - 1) 관..

NH [전략 인사이드] 2025.03 나스닥 급락 코멘트: 우호적 정책을 기다리는 시기

NH [전략 인사이드] 2025.03 나스닥 급락 코멘트: 우호적 정책을 기다리는 시기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NH [전략인사이드] 나스닥 급락 코멘트: 우호적 정책을 기다리는 시기, 2025.03.07, 조연주 ▶ 트럼프 관세 정책 변동성, 단기로는 자산시장의 혼란을 야기 - 팩트: 3월 7일(미국시간) 트럼프발 관세 정책 불확실성에 따른 경기 비관론 확대되며 뉴욕 3대지수 모두 하락. 다우 -0.99%, S&P 500 -1.78%, 나스닥 지수 -2.61% 기록. - 트럼프는 캐나다 멕시코 관세 부과에서 자동차 품목에 대한 관세 인상을 한달 유예한데 더해 USMCA 요건에 부합하는 품목들 모두에 대한 관세 인상을 4월 2일까지 한달 유예. 그럼에도 불구하..

NH [전략 인사이드] 2025.02 예고된 트럼프의 펀치들

NH [전략 인사이드] 2025.02 예고된 트럼프의 펀치들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NH [전략인사이드/경제] 예고된 트럼프의 펀치들, 2025.02.27, 조연주 트럼프가 유럽 전 품목 25% 관세 부과를 발표하면서 추가 관세 정책이 줄줄이 대기 중. 모두 시행될 경우 미국 경제 영향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포트폴리오 변화를 통해 대응 필요. 단, 이는 관세 정책이 모두 시행되었을 때를 가정. 기본 시나리오는 협상을 통해 관세 정책 완화적 시행을 전망. ▶ 적이 늘어날수록 미국이 불리 트럼프는 지속적으로 관세 정책을 발표 중. 관세 부가 대상국과 관세 부가 대상 품목이 늘어날수록 미국 경제 타격은 불가피. 캐나다/멕시코/중국 관세 발표시에는 미국 GDP에서 관..

NH투자증권 [글로벌 투자전략] 3월호: 전쟁과 평화, 정책이 나아갈 곳

NH투자증권 [글로벌 투자전략] 3월호: 전쟁과 평화: 정책이 나아갈 곳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NH 글로벌 투자전략 3월호: 전쟁과 평화: 정책이 나아갈 곳 / 2025.02.26 / 김환 ▶ 전쟁과 평화: 포성이 멈추고 한 송이 꽃이 핀다면  평화 1) 러-우 전쟁의 종식 가능성 부각 - 일각에서는 종전 이후 유럽의 수혜 가능성을 언급하지만 미국의 수혜가 더 클 것으로 예상.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가장 큰 규모의 전쟁 지원을 했기에 재건의 우선권을 가져갈 가능성. 또한 트럼프는 종전 협상의 조건으로 우크라이나의 희토류 개발권을 주장. 반면 유럽은 재건 참여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고, 단기적으로 종전 이후 에너지 가격의 급락이 어렵다는 점에서 유럽의 종전 수혜는..

NH [전략 인사이드] 2025.02 트럼프 관세 시나리오

NH [전략 인사이드] 2025.02 트럼프 관세 시나리오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NH [전략인사이드/경제] 트럼프 관세 시나리오, 2025.02.17, 정여경 트럼프의 상호관세 부과가 한국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 반면, 품목별 관세 확대는 ‘25년 한국 수출 증가율의 마이너스(-) 전환 요인. 다만, 타 국가 대비 한국산 제품의 낮은 관세율은 수송기기와 전기/전자 업종에서 반사수혜 기대 요인. ▶ 상호관세 영향은 미미, 품목별 관세는 타격 요인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당초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 중이다. 트럼프의 다음 타깃은 ①국가별 관세(4월 상호관세 예정, EU/아시아 국가 표적)일 수 있고, ②품목별 관세(반도체, 자동차, 의약품)일 가능성이 있다.  1..

NH [전략 인사이드] 2025.02 중국 탐방에서 찾은 키워드: AI, 로봇, 고배당

NH [전략 인사이드] 2025.02 중국 탐방에서 찾은 키워드: AI, 로봇, 고배당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NH [전략 인사이드] 중국 탐방에서 찾은 키워드: AI, 로봇, 고배당, 2025.02.18, 박인금, 조철군 중국의 부양 정책은 일부 효과 시현 가능하지만 한계점 존재. 올해도 가계의 디레버리징 지속될 것이며 P 반등보다 Q 증가가 눈에 띌 것. 올해 중국 주식시장 투자는 바벨 전략(성장주와 고배당주)이 유효할 것으로 판단. ▶ 정부 부양은 수출 둔화 일부 상쇄 가능하나 한계점 존재 3월 양회에서 발표될 중국 정부의 부양책은 시장 예상치에 부합할 전망이다. GDP 대비 재정적자비율 목표치는 4%로 설정될 전망이며 확보한 자금은 부채 해소, 내수진..

NH투자증권 [매크로분석] 2025.02 미국 1월 CPI: 계절성과 수요

NH투자증권 [매크로분석] 미국 1월 CPI: 계절성과 수요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NH투자증권 [매크로분석] 미국 1월 CPI: 계절성과 수요, 2025.02.13, 정여경 데이터: 미국 2025년 1월 CPI (+3.0%y-y, +0.5%m-m)와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CPI (+3.3%y-y, +0.5%m-m)는 모두 예상치 상회. 전월대비 기여도는 핵심서비스(+0.15%p), 임대료(+0.13%p), 에너지(+0.07%p), 운송장비(+0.06%p)가 차지. 해석: 매년 1월은 품목 비중 변화, 계절조정 수정 등 통계 방식 변화가 있음. ①임대료 기여도 확대, ②핵심서비스(건강보험, 항공운임 등)와 자동차는 수요 확대에 따른 가격 상승과 가중치 ..

NH투자증권 [Issue Comment] 2025.02 트럼프 상호관세 부과 서명: 시행까지는 몇 달 걸릴 것

NH투자증권 [Issue Comment] 25.02 트럼프 상호관세 부과 서명: 시행까지는 몇 달 걸릴 것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NH투자증권 [Issue Comment] 트럼프 상호관세 부과 서명: 시행까지는 몇 달 걸릴 것, 2025.02.14, 조연주 ▶상대국들의 관세율 인하로 연결될 경우 물가 여파 제한적 - 팩트: 2월 13일(미국시간) 모든 국가에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를 부과하는 행정메모에 서명. 이르면 4월 상무부 장관 루트닉, 재무부 장관 베센트, 국토안보부 장관 노엠이 상의 후 부과 예정이라고 발표. 상호관세는 VAT(Value Added Tax) 및 Digital Service Tax 등 비관세 장벽도 고려한다고 언급한 ..

NH투자증권 [Issue Comment] 2025.02 트럼프 행정명령: 미국 국부펀드 설립

NH투자증권 [Issue Comment] 25.02 트럼프 행정명령: 미국 국부펀드 설립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NH투자증권, [Issue Comment] 트럼프 행정명령: 미국 국부펀드 설립, 2025.02.04, 조연주 ▶정부 국부펀드를 통해 틱톡 인수, 파나마 및 그린란드 점령에 용이 -팩트: 2월 3일(미국시간) 트럼프는 미 정부의 국부펀드 설립을 허용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12개월내 국부펀드(Sovereign Wealth Fund, SWF)를 설립할 계획이라고 설명. - 국부펀드는 원유 수출국인 중동 국가(사우디, 쿠웨이트, 아부다비, UAE 등)에서 시작되었으나 2000년 이후 아시아(중국, 홍송, 싱가포르, 한국 등) 등 신흥국의 외환보유액이 크..

NH투자증권 [글로벌 인프라] 2025.01 DeepSeek 등장과 전력 인프라 산업 투자 포인트 점검

NH투자증권 [글로벌 인프라] 2025.01 DeepSeek 등장과 전력 인프라 산업 투자 포인트 점검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NH투자증권, [글로벌 인프라] DeepSeek 등장과 전력 인프라 산업 투자 포인트 점검, 2025.01.31, 정연우 ▶ DeepSeek의 등장으로 전력 인프라 산업 낙폭 확대중국 AI 스타트업 'DeepSeek'의 AI 모델이 기존 시장에 출시된 제품 대비 훨씬 낮은 비용으로도 비슷한 성능을 제공한다는 점이 드러나며 AI 인프라 테마 관련 불확실성이 높아짐. DeepSeek가 불러온 시장 충격은 AI 발전의 직접적인 수혜를 입을 수 있는 AI 하드웨어 산업 외에도 AI로 인한 전력 수요 증가 모멘텀이 기대되고 있던 전력 인프라 산..

NH투자증권 [반도체산업] 2025.01 DeepSeek가 쏘아올린 작은 모델

NH투자증권 [반도체산업] 2025.01 DeepSeek가 쏘아올린 작은 모델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NH투자증권, [반도체산업] DeepSeek가 쏘아올린 작은 모델, 2025.01.31, 류영호 ▶나무보다는 숲을 보자 지난 주말동안 중국 High Flyer에서 개발한 추론 AI모델 DeepSeek R1으로 AI 관련 업체들의 주가가 큰 폭으로 조정 받음. 큰 조정 이후 일부 주가 반등이 있었으나 그간 반도체 시장의 성장을 주도했던 기업들의 조정은 국내 기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판단. 사실 DeepSeek 이전에도 다양한 방식의 학습/추론의 효율화 작업은 존재. 구글 딥마인드의 JEST(Joint Example Selection Training)이나 ..

NH투자증권 [Issue Comment] 2025.01 트럼프 취임식: 국경 및 에너지 비상사태 선포

NH투자증권 [Issue Comment] 25.01 트럼프 취임식: 국경 및 에너지 비상사태 선포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NH투자증권, [Issue Comment] 트럼프 취임식: 국경 및 에너지 비상사태 선포, 2025.01.21, 조연주 ▶ 취임식 첫날 Worst Scenario는 피했다 팩트: 1월 20일 낮 12시(미국시간)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이 진행. 취임 연설에서 그는 미국은 오늘부터 황금시대가 시작되었으며 다시 눈부신 경제 성장과 영토 확장을 경험할 것이라는 포부를 밝힘. 트럼프는 7개 경합주에서 자신을 지지해 준 믿음에 보답하기 위해 미국의 국익을 취우선으로 정책을 실현할 것이라고 강조. 그는 연설에서 취임 첫날 핵심 행정명령 서명을 예고. 여..

NH투자증권 [월간공유] 2025.02 Deja vu(충격은 기회, 협상은 안도)

NH투자증권 [월간공유] 25.02 Deja vu(충격은 기회, 협상은 안도)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NH투자증권, [2월 월간공유] Deja vu(충격은 기회, 협상은 안도), 2025.01.20, 김병연 금융시장은 상승하는 시장 금리와 가격 지표들의 임계점에서 트럼프 2기 취임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2025년 금융시장은 경기 순환적 요인보다는 정책 변화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할 것입니다. 감세안과 규제 완화는 가계 소비와 투자 활성화에 기여할 것입니다. 그러나 관세와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는 시장 변동성을 확대시킬 수 있습니다. KOSPI는 바닥에 대한 신뢰가 높아졌지만, 여전히 트럼프의 정책 영향력 아래 놓여 있습니다. 결국 트럼프에 달려 있습니다.  트..

NH [전략 인사이드] 2025.01 자산배분 포트폴리오의 비트코인 편입 효과

NH [전략 인사이드] 2025.01 자산배분 포트폴리오의 비트코인 편입 효과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NH [전략 인사이드] 자산배분 포트폴리오의 비트코인 편입 효과, 2025.01.21, 하재석, 홍성욱 트럼프 집권 2기 비트코인의 제도권 편입에 대한 기대감이 높습니다. 이에 자산배분 포트폴리오 관점에서 비트코인 편입의 효용성을 점검해 보았습니다.  ▶ 트럼프 효과를 누리고 있는 비트코인친비트코인 대통령 트럼프의 취임으로 미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에서 비트코인의 제도권 편입 가능성이 높아짐. 비트코인은 본래 달러 등 신용화폐 헤지 수단으로서 금과 유사한 특징을 보임. 비트코인 시가총액은 금의 10% 수준까지 올라왔음. 다만, 높은 가격 변동성으로 인해 아직 ..

NH [전략 인사이드] 2025.01 트럼프 허니문 시나리오

NH [전략 인사이드] 2025.01 트럼프 허니문 시나리오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NH [전략 인사이드] 트럼프 허니문 시나리오, 2025.01.14, 조연주 트럼프 취임일부터 100일간 실행되는 정책의 방향성이 향후 주식시장 주도 업종 판가름. 트럼프 2기 허니문 기간 경기 불확실성을 초래하는 관세 정책보다는 대내 정책에 주력할 전망. 취임식 전후 변동성 확대 시 테크, 금융, 산업재 매수 기회로 활용하는 것을 권고. ▶ 허니문 기간에는 단합을 위한 대내 정책에 주력새 대통령 취임 이후 100일간은 언론과 의회가 새 정부를 너그럽게 봐주는 관례(FHD, First Hundred Days) 존재. ‘허니문’이라 불리는 이 기간에는 신규 법안들이 빠르게 상정..

NH투자증권 [해외주식 유망 종목] 1월호, Color는 바뀌지만 Core는 바뀌지 않는다

NH투자증권 [해외주식 유망 종목] 1월호, Color는 바뀌지만 Core는 바뀌지 않는다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NH 해외주식 유망 종목, 2025년 1월, Color는 바뀌지만 Core는 바뀌지 않는다 / 2025.01.06 / 임지용 Color는 바뀌지만 Core는 바뀌지 않는다  CES 모멘텀과 개별주 옥석 가리기- 1월 CES 행사를 앞두고 엔비디아(NVDA.US)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로봇으로의 피벗, 새로운 Narrative의 형성에 성공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로봇이 글로벌 주식시장에 테마가 된다면 대형주 내에서는 테슬라, 아마존 닷컴, 엔비디아 순서로, 중형주는 테라다인, 소형주는 Serve Robotics, Pony AI로 대응할 것을 ..

NH투자증권 [유틸리티] 2025.01 미국의 분명한 데이터센터 확대 움직임

NH투자증권 [유틸리티] 2025.01 미국의 분명한 데이터센터 확대 움직임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NH투자증권 [유틸리티] 미국의 분명한 데이터센터 확대 움직임 / 2025.01.02 / 이민재 2028년까지 미국의 데이터센터 전력수요는 연 평균 13~27% 성장할 전망. 제조업의 리쇼어링, 전기차 보급 확대 등도 전력수요 확대에 기여할 것. 관련 밸류체인의 전방위적 수혜 기대. ✅2028년까지 2배 이상으로 증가할 데이터센터向 전력수요미국 에너지부 산하 로렌스 버클리 국립연구소는 올해 12월 발간한 ‘2024 United States Data Center Energy Usage Report’에서 2028년까지 데이터센터의 전력수요가 연 평균 13~27% ..

NH투자증권 [자산배분] 2025.01 하우스뷰: 정책 리스크 반영의 후반

NH투자증권 [자산배분] 2025.01 하우스뷰: 정책 리스크 반영의 후반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NH [자산배분] NH 하우스 뷰 1월호, 2025.01.02, 하재석 정책 리스크 반영의 후반 12월 FOMC를 계기로 채권시장은 다시 트럼프 정책과 인플레이션 리스크를 고민하기 시작했습니다. 1월 20일 트럼프 취임식까지는 정책 리스크를 반영하는 과정에서 높은 금리 변동성과 달러 강세 국면이 이어질 수 있습니다. 채권 금리와 달리 미국 주식시장의 밸류에이션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주식시장과 채권시장 간 괴리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미국 주식시장의 성격은 다소 변화하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여타 지역 대비 미국 차별화에 따른 미국의 상대적 강세가 두드려졌다면, ..

NH투자증권 [글로벌 투자전략] 1월호: 1월 예고된 파도, 이를 대비한 전략

NH투자증권 [글로벌 투자전략] 1월호: 1월 예고된 파도, 이를 대비한 전략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NH 글로벌 투자전략 1월호: 1월 예고된 파도, 이를 대비한 전략 / 2024.12.26 / 김환 ▶ 글로벌 Top-Down 포트폴리오 전략: 이벤트가 많은 시기, 변동성 활용 필요변동성 확대 국면, 미국과 중국 주식시장 조정 시 주목할 시장변동성 확대 전망: 1월 다양한 이벤트 대기. CES(1/7~10), 실적 시즌 개막(1월 중~), 트럼프 대통령 취임(1/20), 다보스 포럼(1/20~24), FOMC(1/28~29), 트럼프 연두교서(1월 말). 정책 및 다양한 이벤트가 산재해 있어, 고밸류에이션 상황하 글로벌 주식시장은 민감하게 반응할 것- 변동성..

NH [전략 인사이드] 2024.12 신고가 경신한 독일 주식시장, 더 오를까?

NH [전략 인사이드] 2024.12 신고가 경신한 독일 주식시장, 더 오를까?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NH [전략 인사이드] 신고가 경신한 독일 주식시장, 더 오를까?, 2024.12.17, 김환 최근 경기 부진에도 불구 독일 주가지수의 신고점 경신 지속. 다만 그 추세의 장기화 가능성 낮음. 펀더멘털 및 정책 불확실성 때문. 현 시점에서의 유로존 주식시장의 추가 매수에 대한 실효성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 ▶ 독일 주가지수 신고점 경신의 이유: 대외 수요 회복 기대 + ECB 정책 독일 주식시장은 올해 견조한 상승세 시현. 특히 미 대선 이후 독일 주가지수는 신고점을 경신하며 미국보다 더 큰 폭 상승. 반면 독일의 경기 모멘텀은 미국에 비해 부진한 상황...

NH투자증권 2024.12 테슬라 FSD v13.2 배포

NH투자증권 2024.12 테슬라 FSD v13.2 배포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NH투자증권 / 테슬라 FSD v13.2 배포 / 2024.12.03 / 고민성 ▶Park to Park 시스템 구축에 따른 운전자 개입 빈도 감소 기대 11월 30일(현지시간 기준) 테슬라는 FSD(Supervised) v13.2를 제한된 일부 고객 대상으로 배포했다고 발표했다. FSD v13에 대한 시장의 관심은 지난해 말 자율주행 관련 기술 노선을 전면 수정한 FSD v12에 대한 관심만큼이나 높은 상황인데, 이는 테슬라가 2025년 FSD v13을 통해 FSD(Unsupervised)를 출시할 계획이기 때문이다. FSD v13의 기술 완성도는 테슬라의 FSD(Unsuper..

NH투자증권 [글로벌 인프라] 2024.12 북미 오일&가스 미드스트림: Q 증가 기대감 장기화

NH투자증권 [글로벌 인프라] 2024.12 북미 오일&가스 미드스트림: Q 증가 기대감 장기화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NH투자증권 [글로벌 인프라(Issue)] 북미 오일&가스 미드스트림: Q 증가 기대감 장기화 / 2024.12.02 / 정연우 ▶ 트럼프 당선으로 추가 상승 모멘텀을 얻은 오일&가스 미드스트림 산업친화석연료 성향을 가진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선 승리 이후 미국 에너지 산업 전반에서 기대감 고조 - 에너지 가격 움직임에 대한 민감도가 높은 미국 오일&가스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 산업은 연초 이후 상대적으로 부진한 성과를 기록한 반면, 에너지 가격 (P)보다는 생산량(Q)에 의해 성과가 좌우되는 미드스트림 섹터는 연초 이후 상승세 지속 - 한편..

NH [전략 인사이드] 2024.11 트럼프 2기 내각, 중앙집권체제로 구성

NH [전략 인사이드] 2024.11 트럼프 2기 내각, 중앙집권체제로 구성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NH [전략 인사이드] 트럼프 2기 내각, 중앙집권체제로 구성, 2024.11.26, 조연주 트럼프 2기 내각은 오직 충성심을 기준으로 구성되고 있으며 개혁이 필요한 분야는 대통령 직속 임명을 통해 정책 실행 가능성을 높이고 있음. 집권 초기 정책 노이즈 확대될 수 있으나 실현 타이밍을 냉정하게 분석할 필요 있음. ▶ ‘왕권 강화’를 핵심으로 하는 Loyal Cabinet트럼프 1기 내각은 정치 경험이 많지 않고 각 분야별 전문성을 가진 기업인 또는 전문가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나 이들이 자신의 전문 분야에 대한 소신 발언을 해 내부적 갈등이 커졌음. 이에 트럼프..

NH투자증권 [자산배분] 2023.12 하우스뷰: 트럼프 트레이드와 ‘밈(Meme)’ 주식

NH투자증권 [자산배분] 2023.12 하우스뷰: 트럼프 트레이드와 ‘밈(Meme)’ 주식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NH [자산배분] NH 하우스 뷰 12월호 트럼프 트레이드와 ‘밈(Meme)’ 주식, 2024.11.28, 하재석 트럼프 트레이드와 ‘밈(Meme)’ 주식 금융시장에서는 미국 대선을 전후로 정책 효과가 크게 반영되고 있습니다. 트럼프 당선인의 미국 우선주의와 보호무역주의는 미국과 여타 지역 주식시장의 차별화를 야기하고 있으며, 정책 수혜가 예상되는 업종과 테마, 자산의 가격이 크게 상승했습니다. 다만, 단기적인 시장의 반응과 실제 정책 효과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2016년 11월 트럼프 첫 번째 당선 직후에도 ..

NH투자증권 [2025년 글로벌 투자전략] 글로벌 투자의 황금 밸런스

NH투자증권 [2025년 글로벌 투자전략] 글로벌 투자의 황금 밸런스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NH투자증권 [2025년 글로벌 투자전략] 글로벌 투자의 황금 밸런스, 2024.11.12, 하재석 외 10인 2024년 글로벌 주식시장은 대부분 동반 상승했습니다. 테크 중심의 시장이 펼쳐졌지만 다른 업종으로 온기가 확산됐습니다. 미국이 주도하는 글로벌 주식시장 속에서 일본과 유럽의 반등, 신흥국의 저점 통과, 정책과 신기술의 확산 등에 기반해 글로벌 투자는 양호한 수익을 거둘 수 있었습니다. 글로벌 주요국의 선거가 연이어 나왔고 지정학적 리스크, 정치적 불안, 기후 재해 등이 부담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2025년 글로벌 주식시장은 미 대선에서 승리한 트럼프 행정부..

NH투자증권 [2025년 자산배분 전망] 가성비 높은 자산배분 전략

NH투자증권 [2025년 자산배분 전망] 가성비 높은 자산배분 전략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NH투자증권 [2025년 자산배분 전망] 가성비 높은 자산배분 전략, 2024.11.12, 하재석 2024년에는 자산 간 양극화가 두드러졌습니다. 빅테크 기업을 중심으로 미국 주식시장이 크게 상승한 반면, 여타 지역 주식시장은 상대적으로 부진했습니다. 여기에 금 가격이 크게 상승하고, 달러도 강세를 보였습니다.이처럼 특정 자산에 프리미엄이 생겼던 배경에는 미국과 여타 지역 간 경기 차별화, 고금리 환경, 우호적인 유동성 및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있습니다. 2025년에도 유사한 매크로 환경이 펼쳐지겠으나 일부 요인들은 정점을 통과했다고 판단합니다. 이에 2025년에는 그 ..

NH [FICC Collaboration] 2024.11 트럼프 백악관 재입성, 자산별 대응 전략

NH [FICC Collaboration] 2024.11 트럼프 백악관 재입성, 자산별 대응 전략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NH [FICC Collaboration] 트럼프 백악관 재입성, 자산별 대응 전략, 2024.11.07, 황병진 외 10명 트럼프 당선과 동시에 Red Sweep 현실화? 법인세 인하, 재정지출 확대 등이 예상되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글로벌 자산 시장에서 단기 변동성이 확대되는 양상. FICC 자산별로 적절한 단기 대응 전략을 강구할 것을 권고 . ✅채권- 단기적으로 미국 10년 금리 4.5%까지 열려 있지만, 공약의 세부내용 및 연준의 ‘26년 QE 재개 등을 감안하면 현재의 수급 공포는 과도하다고 판단하며 재료 소화 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