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카테고리1/투자 [HouseVIEW]

NH투자증권 [Issue Comment] 2025.02 트럼프 상호관세 부과 서명: 시행까지는 몇 달 걸릴 것

자본추적자 2025. 2. 21. 06:00


NH투자증권 [Issue Comment] 25.02 트럼프 상호관세 부과 서명: 시행까지는 몇 달 걸릴 것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NH투자증권 [Issue Comment] 트럼프 상호관세 부과 서명: 시행까지는 몇 달 걸릴 것, 2025.02.14, 조연주

 

▶상대국들의 관세율 인하로 연결될 경우 물가 여파 제한적

 

- 팩트: 2월 13일(미국시간) 모든 국가에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를 부과하는 행정메모에 서명. 이르면 4월 상무부 장관 루트닉, 재무부 장관 베센트, 국토안보부 장관 노엠이 상의 후 부과 예정이라고 발표. 상호관세는 VAT(Value Added Tax) 및 Digital Service Tax 등 비관세 장벽도 고려한다고 언급한 만큼 시간이 걸릴 것. 미국 주식시장은 상호관세가 즉시 부과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오히려 안도.

 

- 미국 하원 의장 마이크 존슨은 자동차 및 의약품은 상호관세 부과에 제외될 수 있다고 발언하였으나 이날 트럼프 대통령 백악관 기자회견에서는 예외 품목 언급은 없었음. 오히려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에 대한 관세 정책을 추가적으로 발표할 것이라고 언급. 현재 유럽산 자동차는 10% 관세율을 부과 중이며 미국산 자동차는 2.5% 관세율을 부과 중.

 

- 영향: 이번 상호관세의 핵심 타깃은 EU가 될 것. 미국은 EU로부터 6,000억달러 수준의 유럽산 제품을 수입하는 가운데 의약품 및 의료기기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 노보노디스크의 유명 비만치료제(오젬픽, 위고비) 등을 포함해 유럽으로부터 의약품(일라이 릴리 등 미국 제약사의 원료 의약품 포함) 연간 1,270억달러 수입되고 있으며 흉부외과, 정형외과, 호흡기내과 등에서 사용되는 주요 수술 및 검사 기기 등도 연간 370억달러 수입되고 있음. 이에 따른 헬스케어 산업의 영향이 가장 클 것으로 판단.

 

- 이외에도 유럽산 자동차, 유럽산 와인, 유럽산 럭셔리 제품, 이케아 등 유럽산 가구 등 모두 관세 부과 대상이라는 점에서 관련 물품의 물가 상승은 불가피할 전망. 골드만삭스, 도이치뱅크, 제이피모건 등 외사에서는 이번 상호관세 정책으로 미국 Core PCE 물가 상승률이 0.2~0.5%p 증가할 것으로 전망.

 

- EU외에도 일본, 인도, 태국, 베트남 등 아시아 국가들이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 일본의 경우 관세율은 높지 않으나 유럽과 마찬가지로 비관세 장벽이 높다는 것이 지적되었으며 인도, 태국은 관세율이 매우 높다고 비난. 베트남의 경우 미국과 무역적자폭이 가장 큼. 한국, 멕시코, 캐나다의 경우 실제로 FTA 체결로 관세율이 0에 가깝다는 점에서 영향은 제한적일 전망.

 

- 이번 상호관세 정책은 오히려 트럼프의 전 국가 보편관세 부과 가능성을 크게 낮췄다는 점에서 긍정적. 또한, 상대국들이 오히려 관세를 낮추면서 전반적인 평균 관세가 더 낮아질 가능성도 있음. 이에 따라 물가에 미치는 여파는 크지 않을 것.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