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H [전략 인사이드] 2025.01 트럼프 허니문 시나리오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NH [전략 인사이드] 트럼프 허니문 시나리오, 2025.01.14, 조연주
트럼프 취임일부터 100일간 실행되는 정책의 방향성이 향후 주식시장 주도 업종 판가름. 트럼프 2기 허니문 기간 경기 불확실성을 초래하는 관세 정책보다는 대내 정책에 주력할 전망. 취임식 전후 변동성 확대 시 테크, 금융, 산업재 매수 기회로 활용하는 것을 권고.
▶ 허니문 기간에는 단합을 위한 대내 정책에 주력
새 대통령 취임 이후 100일간은 언론과 의회가 새 정부를 너그럽게 봐주는 관례(FHD, First Hundred Days) 존재. ‘허니문’이라 불리는 이 기간에는 신규 법안들이 빠르게 상정되면서 큰 정치적 변화가 나타남. 통상 신임 대통령은 해당 기간에 단합 모색을 위해 경기 부양 및 소득 보장 등과 같은 대내 정책에 주력트럼프는 SNS를 통해 허니문 기간 실행 정책으로 ① 남부 국경 강화, ② 원유 생산 확대, ③ 감세 그리고 ④ 관세 인상을 언급. 주식시장에 긍정적, 부정적 재료가 모두 포함되어 있어 우선순위가 중요할 것.
▶ 시나리오별 트럼프 FHD 정책 방향성 전망
Base Scenario: 2024년 미국 대선의 최우선 과제는 물가. 이에 집권 초기 물가 상승을 유발하는 과도한 외교정책 시행은 쉽지 않을 것. 이에 따라 Drill Baby Drill 행정명령을 통해 유가 인하 유도. 3월 15일 FY25 예산안 마감 기한까지 불필요한 지출 축소. 새로운 감세안이 일정상 우선시될 것으로 예상Worst Scenario: 트럼프는 감세 정책에 필요한 재원 충당을 위한 1기 대비 대대적인 관세 인상 단행을 예고. 특히 1기와 다르게 2기 내각은 로열티에 기반하고 있으며 JD Vance 부통령을 필두로 관세 옹호론자들의 극단적 정책 시행 가능. IEEPA 발동에 따른 10% 보편관세 부과는 미국 물가 상승률 1%p 확대로 이어질 것.
▶ 불확실성 국면에서 기회 찾기: 테크, 금융, 산업재
과거 미국 주가지수는 평균적으로 대통령 취임 전 20일부터 취임 후 한 달까지 하락세. 미국 정책 불확실성 지수 역시 취임 10일 전 고점을 기록하고 취임 30일 이후 하락. 취임식 전후 과도한 공포심리 확대될 경우 트럼프가 우선시하는 정책으로 수혜를 볼 수 있는 테크, 금융, 산업재 섹터 매수 기회로 활용할 것을 권고.


'투자 카테고리1 > 투자 [Hous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금융투자 [Econ Guide] 2025.01 연준 일시정지가 디스인플레이션을 이끈다 (0) | 2025.01.24 |
---|---|
미래에셋 [Global Equity Issues] 2025.01 트럼프 취임 후 정책 미리보기 (0) | 2025.01.23 |
DB금융투자 [Econ Guide] 2025.01 고용과 인플레이션 다시 과열되나? (1) | 2025.01.21 |
DB금융투자 [심층분석자료] 2025.01 닥터둠의 보석함 (0) | 2025.01.20 |
삼성증권 [기업리포트] 2025.01 Global 백년 기업: 백년 기업의 DNA가 궁금해지는 2025년 (0) | 2025.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