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카테고리1/투자 [HouseVIEW]

미래에셋증권 [글로벌 자산배분] 2월 디스인플레이션 투자전략

자본추적자 2023. 2. 8. 07:00


미래에셋증권 [글로벌 자산배분] 2월 디스인플레이션 투자전략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2월 디스인플레이션 투자전략, 2023-02-02, 박희찬

디스인플레이션 투자전략

 

1) 경제/정책 환경: 연준에 계속 맞서는 시장
- G20 경기선행지수 하락세 지속되면서 경기침체 가능성을 계속해서 시사. 연준 매파적 스탠스도 지속.
- 하지만, 연초 증시는 강한 반등. 최근 인플레 지표 안정에 연준 금리 인상 조기 종료 기대감 확산.
- 중국 경기 회복 기대감, 유로존 경기 우려 완화도 달러 약세를 야기하면서 위험자산에 긍정적 영향.
- 단기적으로는 연준 코멘트보다 인플레, 고용지표 등에 시장이 더 민감한 상황 유지될 전망.

2) 자산배분: 선진국 채권 투자의견 상향
- 2023년은 큰 틀에서 디스인플레이션 국면이면서 리세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는 상황.
- 디스인플레는 채권, 주식에게 모두 좋을 수 있지만 리세션 가능성이 주식에게 부담 → 채권 상대 선호.
- 최근 채권 금리가 많이 하락했고 장단기 역전이 심화되지만 절대금리 매력도는 여전히 높음.
- 주식은 경험적으로 볼 때 매우 고평가 된 영역에 위치, 가격 매력 회복을 위해서는 금리가 크게 낮아져야 함.
- 하지만, 3월 FOMC에서는 시장 기대와 다르게 추가 금리인상을 예고할 여지가 충분히 크기 때문에 주식에 보수적 스탠스 유지.

 

https://www.freepik.com/premium-photo/woman-attractive-look-posing-modern-style-cropped-view_18826852.htm


3) 달러 약세 요인 약화되기 시작, 신흥국 채권 및 원자재 등에 대한 투자는 신중할 필요
- 유로화, 엔화, 위안화 모두 추가 절상 여력이 많이 줄었다고 판단됨.
- 달러 약세는 제한될 것이며, 또 3월 FOMC에 대한 부담도 시간이 갈수록 커질 것.
- 달러 약세에 금, 신흥국채권 등의 가격 회복세가 진행됐지만 앞으로 한동안은 조심해서 볼 필요.
- 단, 구리 등 산업금속은 중국 산업생산 활동 회복 기대감에 상대적 강세가 유지될 여지가 있어 보임.


  종목 테마 설명
Core
(주식)
Schwab International Dividend Equity 배당성장
(Non US)
미국을 제외한 글로벌 대형 배당주에 투자, 국가별로는 영국(21.3%), 호주(12.6%), 스위스(9.8%), 독일(9.5%) 등
iShares MSCI Global Min Vol Factor Low Vol
(Global)
글로벌 저변동성 주식에 투자, 국가별로는 미국(54.4%), 일본(10.8%), 중국(8.3%), 대만(5.1%), 인도(4.6%) 등.
Core
(인컴)
iShares iBoxx $ Investment Grade Corp Bond 선진국 회사채
(IG등급)
미국달러 표시 BBB 이상, 잔존만기 3년 이상인 회사채에 투자. 국가별로는 미국(86.3%), 영국(4.1%), 캐나다(2.9%) 등.
Satellite iShares MSCI India 인도 인도 시가총액 상위 85%에 투자,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 (9.7%), 인포시스(7.0%), HDFC(6.2%) 등이 상위 보유 종목.
iShares MSCI China 중국 중국 중대형 기업들에 투자. 텐센트(13.6%), 알리바바(9.3%), 메이투안(4.7%), 진동닷컴(2.8%) 등이 상위 보유 종목.
Global X Robotic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로보틱스 로봇과 AI 관련된 글로벌 기업들에 투자, 섹터별로는 제조업(42.1%), 전자기술(23.8%), 기술 서비스(18.0%) 등.
iShares Global Healthcare 헬스케어 글로벌 헬스케어 대형주에 투자, 국가별로는 미국(72.5%), 스위스(7.7%), 일본(4.5%), 영국(4.1%) 등.
Global X Lithium and 
Battery Tech
배터리
밸류체인
2차 전지 밸류체인 전반에 투자. 섹터별로는 장치산업(33.2%), 제조업(29.2%), 내구소비재(18.6%) 등.
Global X US Infrastructure Development 인프라 미국 인프라 투자관련 기업에 투자. 섹터별로는 제조업(29.3%), 비에너지 광물(22.5%), 전자기술(11.8%) 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