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증권 [산업리포트] 2025.01 Seeking Deeper: DeepSeek 사건의 오해와 본질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삼성증권 [산업리포트] Tech(OVERWEIGHT): Seeking Deeper: DeepSeek 사건의 오해와 본질, 이종욱, 2025-01-31
✅투자자들은 AI 내러티브 훼손에 대한 공포. 그러나 특별하지 않은 기술 방향의 단면
✅쏠림 현상 해소하며 주가 조정 불가피. 그러나 곧 명확한 AI 투자 방향성을 재확인하게 될 것
주가 급락의 본질: 투자자들 공포의 본질은 다음과 같다. "중국 AI 스타트업이 미국의 반도체 견제에도 알고리즘 혁신을 통해 오픈AI를 따라잡았다. 최신 엔비디아 반도체를 쓰지 않고도 성능은 비슷하지만 비용은 매우 작다" 이 문장들이 맞다면 미국의 대중 재제는 효과가 없었으며 빅테크 기업들의 AI 해자는 무너졌고, 엔비디아 반도체 구매는 돈낭비였다.
오해가 많은 이벤트: 그러나 우리는 DeepSeek의 많은 부분들에 오해가 있었고, 본질이 왜곡된 채 전파되었다고 생각한다. 위기처럼 보이지만 실상 AI 기술 전개의 방향성이다.
ㆍ DeepSeek, 기술적으로 특별하지 않다: 우리는 LLM의 진입 장벽이 깨졌다고 보지 않는다. DeepSeek 모델에 사용된 경량화 기술은 특별하지 않으며 경쟁 모델 대비 비용을 크게 줄인 것도 아니다. AI 기술 방향이 추론으로 확대되기 위한 자연스런 효율화 작업이다.
ㆍ 클라우드 Capex 상향에 의심 금지: 추론 비용은 지난 3년간 1,000배 이상 하락했지만 CSP 3사의 클라우드 이익은 지속적으로 상향 조정되고 있다. 추론 비용의 하락이 수요 증가의 동기였기 때문이다. DeepSeek은 모델 훈련의 효율화를 이야기하지만 메타의 AI 책임자 얀 르쿤은 대규모 투자가 훈련이 아닌 추론 인프라 때문이라 언급했다. MS CEO 사티아 나델라는 AI 모델의 비용이 하락하면서 AI 수요가 지수 함수로 확대된다고 언급했다.
ㆍ DeepSeek이 엔비디아의 두번째 성장 뚜껑을 열었다: DeepSeek-V3의 모델 훈련에 블랙웰을 사용했다면 더 낮은 비용으로 구현 가능했을 것이다. DeepSeek-R1을 블렉웰로 추론한다면 시간을 더 아낄 수 있다. DeepSeek이 제시한 모델의 방향성은 사실 엔비디아의 기술 로드맵과 일치한다. DeepSeek이 열게 될 추론 영역으로의 시장 확장은 엔비디아의 두번째 스케일링-AI Agent의 시작을 의미한다.
ㆍ HBM의 수요는 데이터 이동 수요를 의미: 비효율적인 반도체의 대명사인 HBM 수요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다. 여전히 언어모델의 메모리 대역폭 부족 문제는 해소되지 않았다. 오히려 모델 경량화의 몸부림은 메모리 대역폭이 부족함을 보여주는 증거다. 엔비디아뿐만 아니라 추론용 ASIC에서조차 HBM 탑재량은 급증하고 있다.
오해의 원인은 미중 정치 문제: 이번 DeepSeek 사태는 미중 경쟁 때문에 부각되었으며 미중 경쟁에 불을 붙이는 계기가 될 것이다. 전개 양상은 1) 미국 투자의 증가와 2) 중국향 AI 재제 강화의 두 가지 방향성일 것이다. 정치적 관점에서 보면 DeepSeek은 현재의 방향성에 대한 Unwinding trigger가 아니라 현재의 방향성을 고착화시키는 Accelerator이다.
투자 아이디어- 길지 않은 조정과 새로운 기회: 우리는 한결같은 AI 관심도와 클라우드 수요/Capex 사이클을 바탕으로 이 이벤트가 단기 조정에 불과할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공포심 해소에는 시간이 필요하지만 클라우드의 투자상향과 엔비디아 실적, 그리고 미국 AI 모델의 경량화 성과, AI 비용 절감에 따른 시장 진입자 소식들이 중요한 반등 트리거이다.
엔비디아와 브로드컴 위주의 반도체, 클라우드 업체의 투자 상향이 여전히 긍정적이다. 한국 메모리 업체는 조정장 속에서 시장을 아웃퍼폼할 수 있다. AI 비용 하락은 이를 활용하는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나 어플라이케이션 기업에게는 호재다. 한국 인터넷업체들에게도 재입장의 기회가 주어졌다. AI 효율화는 On device AI의 내러티브와도 맞닿아 있다.
'투자 카테고리1 > 투자 [Hous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NH투자증권 [Issue Comment] 25.01 트럼프 취임식: 국경 및 에너지 비상사태 선포 (1) | 2025.01.31 |
---|---|
NH투자증권 [월간공유] 25.02 Deja vu(충격은 기회, 협상은 안도) (0) | 2025.01.30 |
NH [전략 인사이드] 2025.01 자산배분 포트폴리오의 비트코인 편입 효과 (0) | 2025.01.29 |
DB금융투자 [심층분석자료] 2025.01 생산성 내러티브 (0) | 2025.01.28 |
DB금융투자 [Econ Guide] 2025.01 연준 일시정지가 디스인플레이션을 이끈다 (0) | 2025.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