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quity Strategy 7

미래에셋증권 [Equity Strategy] 2023.10 매수 기회 탐색

미래에셋증권 [Equity Strategy] 2023.10 매수 기회 탐색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미래에셋증권, Equity Strategy, 매수 기회 탐색, 2023-10-04, 김성근 [주식 전략] 대형 테크 + 인프라로 압축 대응 • 주식 시장은 금리 상승으로 인해 타격을 받음. 그러나 인플레이션 완만하게 하락하고, 경기 둔화 이어지며 금리로 인한 밸류에이션 부담감은 완화될 것. • 9월 FOMC에서 연준의 'higher for longer' 기조가 재확인됐지만, 이는 경기에 대한 기대감에 기반. 경기 둔화 신호 강해지면 24년 pivot 기대감도 살아날 것. • 디스인플레이션도 이어지고 있음. 8월 핵심 PCE 인플레이션은 YoY 기준으로 하락세 ..

미래에셋증권 [Equity Strategy] 2023.08 압축적 대응 전략 유지

미래에셋증권 [Equity Strategy] 2023.08 압축적 대응 전략 유지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미래에셋증권, Equity Strategy, 압축적 대응 전략 유지, 2023-08-04, 김성근 소프트랜딩 기대감 + AI 기대감 유지 - 주식 시장을 주도하는 양대 원동력인 소프트랜딩, AI 기대감 유지되고 있음. 당분간 상승 흐름 이어질 전망 - 7월 FOMC에서 연준은 데이터 의존형 입장을 유지. 최근 인플레이션 데이터, 노동 지표를 감안했을 때 주식 시장은 연내 동결 시나리오를 계속해서 유력하게 볼 것 - 현재까지 80% 기업들이 예상치를 상회하는 2분기 실적을 발표. 테크 기업들의 2분기 실적도 전체적으로 양호. AI 기대감 훼손될 요인 아직..

미래에셋증권 [Equity Strategy] 2023.01 어려운 국면 속 기회

미래에셋증권 [Equity Strategy] 2023.01 어려운 국면 속 기회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미래에셋증권, Equity Strategy, 어려운 국면 속 기회, 2022-12-29, 김성근 경기 방어 업종 및 수요가 유지되는 분야 결론적으로 2023년에는 지속되는 연준의 금리 인상으로 인해 높아지는 경기 침체 우려에 포커스를 맞춰야 하는 상황이며, 기업들의 이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전망이다. 2022년에는 높아지는 인플레이션과 여기에 대응하는 연준의 조치, 이로 인한 금리 상승과 밸류에이션 타격에 초점이 맞춰졌지만, 2023년에는 악화되는 경기로 인한 이익 하향 조정에 더 관심이 쏠릴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에 경기 사이클 영향이 적고, 이..

미래에셋증권 [Equity Strategy] 2022.12 속도 조절에서 이익 하향으로

미래에셋증권 [Equity Strategy] 2022.12 속도 조절에서 이익 하향으로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미래에셋증권, Equity Strategy, 속도 조절에서 이익 하향으로, 2022-12-01, 김성근 [Macro] 시장의 시선은 연준의 속도 조절에서 Terminal rate로 이동할 것 • 금리 인상 기조가 끝나지 않았다는 연준 위원들의 메시지에도 불구 주식 시장은 버티고 있는 중. 속도 조절 측면에 집중하면서 미국 장기 국채 금리가 하락한 영향 • 다만 이 국면이 계속 이어질 수는 없을 것. 주식 시장은 아직까지는 속도 조절에 대한 기대감만 반영하고 있음. 연준의 최종 Terminal rate은 아직 불확실한 상황. 불라드 총재는 경우에 따..

미래에셋증권 [Equity Strategy] 2022.11 경기 침체 대응 전략

미래에셋증권 [Equity Strategy] 2022.11 경기 침체 대응 전략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미래에셋증권, Equity Strategy, 경기 침체 대응 전략, 2022-11-01, 김성근 [Macro] 관건은 연준의 Terminal rate: 아직 높은 인플레이션 압력 연준의 속도 조절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며 주식시장도 최근 반등. 11월 FOMC에서는 75bp를 인상하겠지만, 앞으로 인상 폭이 낮아질 것이라는 기대감 반영. 속도 조절에 기대감이 고조된 배경에는 BoC와 RBA의 통화정책회의도 일조. 그러나 캐나다와 호주는 가계부채가 높아 미국에 비해 금리 인상에 더 취약할 수 있음. 미국 내에서도 인플레이션 압력 둔화를 시사하는 신호들이 나..

미래에셋증권 [Equity Strategy] 2022.10 인플레이션 완화까지

미래에셋증권 [Equity Strategy] 2022.10 인플레이션 완화까지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Macro 아직 이른 연준의 pivot 기대감, 핵심 인플레이션 완화 본격화까지 인내 시장이 본격 반등을 시도하기 위해서는 핵심 인플레이션의 하락이 요구됨. 9월 FOMC에서 연준이 경기 보다는 인플레이션에 신경 쓰겠다는 입장을 표출. 핵심 CPI를 지지하고 있는 주거 비용이 최근 하락하는 조짐을 보이는 중. 임대료와 주택 가격 MoM 기준으로 하락. 핵심 CPI도 결국은 하락세로 접어들 것. 핵심 CPI가 하락할 때까지 인내하는 구간 진입. Strategy 완화될 때까지의 전략: 유틸리티, 의료, 에너지, 국방, 원자력 인하 사이클 가능성이 줄어든 만큼,..

미래에셋증권 [Equity Strategy] 2022.09 연준의 공백 채우기

미래에셋증권 [Equity Strategy] 2022.09 연준의 공백 채우기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Macro: 잭슨 홀 이후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 흐름은 여전 • 잭슨 홀 컨퍼런스는 주식 시장을 타격 내년 금리 인하 사이클로의 기대감을 연준이 후퇴시킨 영향 • 그러나 과도한 우려는 피할 필요. 근본적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는 흐름은 여전. 채권 시장은 잭슨 홀 이전에도 사이클 전환에 대한 기대감을 낮추고 있었음 • 원자재 가격은 수요 둔화, 보다 예측 가능해진 공급으로 가격이 본격적으로 다시상승할 가능성은 낮음. 주거 비용도 하락할 기미를 보이고 있음 • 다만 인하 사이클 가능성이 줄어든 만큼, 결국 이익에 대한 포커스가 강화될 것 S&P500 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