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증권 [투자전략] 2025.04 상호 관세와 美 증시 전망: 쉽게 해소되지 않을 관세 불확실성, 위험 관리 필요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삼성증권 [투자전략] 상호 관세와 美 증시 전망: 쉽게 해소되지 않을 관세 불확실성, 위험 관리 필요 / 박혜란 / 2025-04-01
✅ 4.2일 상호 관세 발표에 따른 주식시장 반응은 관세 범위/강도, 조정 조건 등이 관건
✅ 상호 관세 강도가 높을수록, 지속 기간이 길수록 주식시장에는 부정적
✅ 스태그플레이션 경계감으로 매크로 지표에 대한 시장 민감도 증가 예상
WHAT’S THE STORY?
4.2일 상호 관세 발표가 약 하루 앞으로 다가옴. 상호 관세 관련 불확실성은 크게 1) 적용 범위와 강도, 두 번째는 강도 조정 가능성과 지속 기간. 4.2일은 첫 번째 불확실성을 확인하는 날. 금융시장 관점에서 최상의 시나리오는 관세 범위가 시장 예상보다 작고, 향후 그 범위가 확장되지 않는 것. 그러나 이 가능성은 낮음
다음 최선의 시나리오는 상호 관세의 틀이 이날 한 번에 확인되는 것. 이 경우 단기 시장 충격은 가장 강하겠지만 첫 번째 불확실성이 빨리 해소된다는 점에서 오히려 이때 시장이 바닥을 확인할 수 있음. 남은 과제는 협상에 따른 강도 조정 가능성과 지속 기간 조절
향후 60%까지 인상이 최종 목표인 대중국 관세는 협상 과정에서 관세가 더 올라갈 수 있는 반면, 서로 동일한 관세가 기본 전제인 상호 관세는 상대적으로 상방은 제한된 채, 높은 수준에서 낮은 수준으로 하향 조정될 여지가 더 크다는 점에 주목
그러나 최근 주요 트럼프의 발언을 감안하면 4.2일 당일 상당한 범위의 상호 관세가 한 번에 확인되기는 어려울 전망. 특히 시장이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반도체 등 핵심 산업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결국 아직 관세 이슈에 시장이 둔감해지기에는 이른 시점. 국가 관세와 품목별 관세가 어떻게 구별되고, 비관세 장벽을 고려한 조치들은 어떻게 적용되며 향후 관세 조정은 어떻게 되는지 등 불확실성이 여전히 많기 때문.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뒷짐 지고 있는 중국 또한 잠재 위험
기본적으로 상호 관세 강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지속시간이 길수록 주식시장에 부정적. 이는 곧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로 귀결되기 때문. 인플레이션 재점화와 성장 충격 중 먼저 확인되는 쪽에 맞춰 연준의 통화정책 대응은 달라질 것
시장은 매크로 지표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를 앞서서 가격에 반영할 위험. ’지난 22년 6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촉발된 당시 S&P 500 12m fwd P/E(Bloomberg 기준)는 불과 2주 사이 10% 이상 빠르게 조정된 경험. 실제 인플레이션이 매우 높았던 ’22년과 현재 국면은 다르지만 언제나 시장 가격은 한발 앞서감에 주의할 필요


'투자 카테고리1 > 투자 [Hous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금융투자 [Econ Guide] 2025.04 관세전쟁에 흔들리는 인플레이션과 재정건전성 (0) | 2025.04.15 |
---|---|
DB금융투자 [전략의 샘] 2025.04 미국 주식시장 하락 폭에 대한 가늠 (0) | 2025.04.14 |
NH [Spot Comment] 2025.04 미국 급락 코멘트: 예상했던 4월 관세 공포, 소화시간 필요 (1) | 2025.04.10 |
DB금융투자 [글로벌경제] 2025.04 관세폭탄 방패는 재정 (0) | 2025.04.09 |
DB금융투자 [전략의 샘] 2025.03 큰 돌 굴러가유 자알 피하세유 (0)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