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공유 5

NH투자증권 [월간공유] 25.02 Deja vu(충격은 기회, 협상은 안도)

NH투자증권 [월간공유] 25.02 Deja vu(충격은 기회, 협상은 안도)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NH투자증권, [2월 월간공유] Deja vu(충격은 기회, 협상은 안도), 2025.01.20, 김병연 금융시장은 상승하는 시장 금리와 가격 지표들의 임계점에서 트럼프 2기 취임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2025년 금융시장은 경기 순환적 요인보다는 정책 변화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할 것입니다. 감세안과 규제 완화는 가계 소비와 투자 활성화에 기여할 것입니다. 그러나 관세와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는 시장 변동성을 확대시킬 수 있습니다. KOSPI는 바닥에 대한 신뢰가 높아졌지만, 여전히 트럼프의 정책 영향력 아래 놓여 있습니다. 결국 트럼프에 달려 있습니다.  트..

NH투자증권 [월간공유] 23.05 Sell In MAY면? Buy!

NH투자증권 [월간공유] 23.05 Sell In MAY면? Buy!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NH투자증권, [5월 월간공유] Sell In MAY면? Buy!, 2023.04.24, 김병연 Sell In MAY면? Buy! KOSPI가 지루했던 2,200~2,500P 박스권 상단을 돌파했습니다. 미국의 중소형 은행 위기가 오히려 기회가 되었습니다. 각국 정부와 중앙은행들의 빠른 조치로 시스템 리스크의 확산 가능성은 낮아지고, Fed의 기준금리 인상 사이클 종료 기대가 높아졌습니다. 미국의 장기 경기 사이클은 점진적으로 둔화(Mild Recession)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이와는 다르게 수개월 동안 하락했던 소순환 사이클(Soft Data)과 기업 이익..

NH투자증권 [월간공유] 23.03 4전 5기, 이번엔?

NH투자증권 [월간공유] 23.03 4전 5기, 이번엔?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NH투자증권, [3월 월간공유] 4전 5기 이번엔?, 2023.02.27, 김병연 4전 5기, 이번엔? Fed가 여름까지 기준금리를 올릴 수도 있다는 의견에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 금리도 오르고 달러도 올랐습니다. 수출은 개선이 여의치 못한 상황이고 수입단가도 높아 기업이익은 여전히 하향 조정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KOSPI는 크게 떨어지기보다는 2,200~2,500P 박스권 상단에서 몇 주째 머물고 있습니다. 기업이익은 줄어드는데 지수는 떨어지지 않다 보니 KOSPI의 밸류에이션은 상당히 높습니다. 연초 지수의 상승은 달러 약세에 따라 글로벌 유동성이 여러 국가로 ..

NH투자증권 [월간공유] 23.02 1분기는 달러, 2분기는 물가가 Key Driver

NH투자증권 [월간공유] 23.02 1분기는 달러, 2분기는 물가가 Key Driver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NH투자증권, [2월 월간공유] 1분기는 달러, 2분기는 물가가 Key Driver, 2023.01.27, 김병연 1분기는 달러, 2분기는 물가가 Key Driver 2022년 우리를 힘들게 했던 자산인 암호화폐, 홍콩, 유럽, 이머징, 중국 등의 주가지수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미국 금리인상의 끝이 멀지 않았다는 기대, 유럽의 온화한 날씨, 중국의 리오프닝 정책, 일본의 통화정책 변화 기대 등이 달러 약세를 이끌며 나타난 현상입니다. 1분기 금융시장의 화두는 여전히 달러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달러의 속도 조절과 재약세 등에 따른 미국 외 자산의 차..

NH투자증권 [월간공유] 23.01 1월 효과는, 있다?

NH투자증권 [월간공유] 23.01 1월 효과는, 있다?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NH투자증권, [1월 월간공유] 1월 효과는, 있다?, 2022.12.26, 김병연 1월 효과는, 있다? 1월 효과(January Effect)라는 용어가 있습니다. 1월 효과가 새로운 해에 대한 장밋빛 전망, 경기가 좋아질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에 의한 주가지수 상승을 의미하는 것이라면, 2023년 1월 효과는 없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1월 효과가 각종 테마 이슈의 관심확대, 업종별 순환매, 단기 수익률 게임, 집권 2년차 신정부 정책에 대한 이슈화 등을 의미하는 것이라면, 2023년 1월 효과는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가지수는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박스권 흐름을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