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4

주요 대형 투자 은행들의 2023년 전망 리포트 요약

주요 대형 투자 은행들의 2023년 전망 리포트 요약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주요 대형 투자 은행들의 2023년 전망 리포트 요약 골드만삭스: 🌍 2023년 글로벌 경제 연 1.8% 성장 🇺🇸 US 경제 회복 탄력성 지녀, 경기 침체 간신히 빗겨갈 것 🇪🇺 지속 상승하는 에너지 비용으로 인한 경기 침체 가능성 📈 연준, 2023년에 금리 인하 없이 125bps 증가 예상. 최종 기준 금리 5-5.25% 예상 🔼 유럽중앙은행 또한 5월 23일까지 금리 인상, 최종 기준 금리 3% 예상 🇨🇳 중국 개방이 예상과 달리 순조롭지 못해, 2분기 성장률 둔화 후 3분기 이후부터 증가 기대 JP모건: 핵심 시나리오 - 선진국 중심의 완만한 경기 침체 예상 🌏 경제 성장..

삼성증권 [2023년 글로벌 자산배분 전망] 순환적 회복 vs. 구조적 변화 (2)

삼성증권 [2023년 글로벌 자산배분 전망] 순환적 회복 vs. 구조적 변화 (2)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2023년 글로벌 자산배분 전망: 순환적 회복 vs. 구조적 변화, 2022-11-30, 유승민 미국 주식시장 전망 2023년 미국 주식시장의 가장 중요한 변화는 3가지 주요 변수(인플레, 긴축 정책, 달러)가 동시에 피크아웃한다는 것. 이들 변수는 '22년 주식시장의 약세를 주도했던 핵심 원인으로, 이 가운데서도 특히 연준의 강도 높은 긴축이 완화되는 것은 주식시장의 위험선호를 개선시키는 데 결정적. 그러나 이들 변화에도 불구하고 '23년 주식시장이 Bear market을 종료하고, 완연한 Bull Market으로 복귀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전망...

삼성증권 [2023년 글로벌 자산배분 전망] 순환적 회복 vs. 구조적 변화 (1)

삼성증권 [2023년 글로벌 자산배분 전망] 순환적 회복 vs. 구조적 변화 (1)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2023년 글로벌 자산배분 전망: 순환적 회복 vs. 구조적 변화, 2022-11-30, 유승민 글로벌 자산배분 전망 높은 인플레와 긴축적 통화정책은 글로벌 경기에 부정적 요소들. 때문에 이들의 조합이 초래할 수도 있는 경기침체 진입 여부가 2023년 금융중심이 될 것. 하지만 역사적으로 경기둔화 or 침체는 채권과 주식에 재진입 기회와 양면의 동전과 같다는 점에서 기회도 주목. 당사의 이코노미스트들은 내년 글로벌 경제가 침체가 아닌 연착륙에 성공할 것으로 예상. 이 전망을 존중한다면 위험자산의 가격은 22년 하반기을 확인했을 수 있음. 경기가 내년 ..

삼성증권 2023 빅테크 가이드북

삼성증권 빅테크에 물려가도 정신만 차리면 산다: 2023 빅테크 가이드북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빅테크에 물려가도 정신만 차리면 산다:2023 빅테크 가이드북, 김중한, 2022-11-24 2022년 빅테크 수익률 실화인가요? 2008년 금융위기이후 오랜 기간 동안 시장 아웃퍼폼의 대명사로 불리던빅테크에게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일까요? 원인은 복합적입니다. 2021년의 높은 기저효과, 상장 이후 처음 겪어보는 인플레이션, 연준의 급격한 금리 인상, 커져만 가능 경기 둔화 우려, 전쟁, 공급 병목 등등. 극단적이라고 표현할 수 있는 외부 매크로 환경에서 에너지 등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섹터는 크게 하락할 수밖에 없었고 빅테크 또한 예외가 아니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