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Equity Insights 6

삼성증권 [Global Equity Insights] 1월: 정책 우려가 실적 기대를 꺾을 것인가

삼성증권 [Global Equity Insights] 1월: 정책 우려가 실적 기대를 꺾을 것인가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삼성증권 [Global Equity Insights] 1월: 정책 우려가 실적 기대를 꺾을 것인가, 2024-12-27, 유승민ㆍ 1월 최대 변수는 트럼프 취임에 따른 정책 불확실성. 특히 보편적 관세 시행 향방에 주목. 협상 후 빨라야 하반기 경 국가/품목별 차등 실시 예상.ㆍ무역법 제301조에 따라 관세 시행되려면 USTR의 조사 절차가 필요하고, 정치적/법적 반발 대비 위한 협상력 극대화 등 고려 사항 존재.ㆍ또 다른 변수는 제조업 경기 회복. 과거 연준의 금리 인하 이후 2~3분기 후 제조업 경기 회복 출현. 내년 하반기도 제조업 ..

삼성증권 [Global Equity Insights] 3월: 예외주의와 밸류업

삼성증권 [Global Equity Insights] 3월: 예외주의와 밸류업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삼성증권 [Global Equity Insights] 3월: 예외주의와 밸류업, 2024-02-29, 유승민 ㆍ 미국 경제 예외주의에서 글로벌 경제가 동반 상승하는 골디락스로의 전환 여부는 제조업 회복 및 연준 통화정책이 중요한 변수. ㆍ 현재 글로벌 제조업 회복세 진입 중이나, 연준 통화정책 완화 시점 논쟁은 지속 중. 1분기는 M6(테슬라 제외)의 실적이 주도하는 주식시장 상승세 이어질 전망. ㆍ 국가, 지역별로는 미국, 한국 확대 / 유로존 중립 / 중국 축소 의견 유지. Global Equity Insights 3월: 예외주의와 밸류업 미국 경제 ‘..

삼성증권 [Global Equity Insights] 1월: 주식시장은 압축 대응

삼성증권 [Global Equity Insights] 1월: 주식시장은 압축 대응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삼성증권 [Global Equity Insights] 1월: 주식시장은 압축 대응, 2023-12-29, 유승민 ㆍ 연준의 금리인상 사이클 종료에 따라 주식은 하반기 대비 상반기가 다소 유리. ㆍ 주식시장은 금리보다 실적에 대한 민감도 강화 예상. 미국은 비교적 실적전망 신뢰도 높아 미국 시장 최선호 당분간 지속될 전망. ㆍ IT 제외한 대부분 업종이 이익 수정 비율 하향 수정되고 있어 실적 압축 대응 필요. 위험자산은 상반기에 더 많은 기회 연준의 금리 인상 사이클 종료에 따라, 주식의 경우 상반기가 하반기에 비해 다소 유리할 전망. 연준의 마지막 금..

삼성증권 [Global Equity Insights] 11월: a Dead Cat Bounce

삼성증권 [Global Equity Insights] 11월: a Dead Cat Bounce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Global Equity Insights 11월: a Dead Cat Bounce, 2022-10-31 11월 FOMC를 앞두고 주식시장에서는 연준의 terminal rate에 근접하고 있다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해 말 이후 계속된 주식시장의 밸류에이션 조정과 (가치주 대비) 성장주의 부진이 진정될 가능성이 주목된다. 그러나 연준의 긴축속도 둔화를 약세장의 종료의 신호로 해석하는 것은 다소 성급하다. 심리지표들이 단기 패닉신호를 출현하고 있으며, 연준의 긴축둔화 기대가 가세해 주식시장의 단기 반등이 가능할 것이다. 하지만 지..

삼성증권 [Global Equity Insights] 9월: 지구전과 각개전투

삼성증권 [Global Equity Insights] 9월: 지구전과 각개전투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Global Equity Insights 9월: 지구전과 각개전투 최근 글로벌 주식의 '짧은 반등' 배경은 3분기 중 인플레가 정점을 통과하고 긴축강도가 약화될 것이라는 기대에서 비롯됐다. 실제 역사적으로 강세장을 시사하는 가장 빠른 단초는 중앙은행 긴축정책의 선회였다. 그러나 하반기 중 미 연준의 정책금리인상의 폭이 점차 축소될 전망에도, 이를 정책전환으로 해석하는 것은 매우 성급하다. 향후 확대되는 QT(양적긴축) 규모의 영향도 주시해야 한다. 주식 강세장의 출발을 예고하는 가장 신뢰할 만한 조건은 경제데이터 개선의 '누적'이다. '예상보다' 견조한 경..

삼성증권 [Global Equity Insights] 8월: 아직은 회색지대

삼성증권 [Global Equity Insights] 8월: 아직은 회색지대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Global Equity Insights 8월; 아직은 회색지대 올 들어 글로벌 주식시장의 급락은 주로 금융시장 경로의 요인에서 촉발됐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부각된 인플레 위험에 대항하여 연준 등 각국 중앙은행이 매파로 급선회한 충격이 반영된 것이다. 때문에 주식시장은 연중 최저치로 하락한 기대인플레(BEI)보다 연중 최고치 수준의 실질금리(Tips)를 여전히 더 주목하며 혼조세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향후 시장은 실물경기, 즉 기업실적에 더 관심을 가지게 될 것이다. MSCI AC World의 연간EPS 전망은 지난해 말 대비 소폭(1% 미만) 하향 조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