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5

삼성증권 [투자전략] 2024년 하반기 미중 주식 투자 전략: Transition, 확산(美) vs. 압축(中)

삼성증권 [투자전략] 2024년 하반기 미중 주식 투자 전략: Transition, 확산(美) vs. 압축(中)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삼성증권 [투자전략] 2024년 하반기 미중 주식 투자 전략: Transition, 확산(美) vs. 압축(中) / 전종규/정성태/박혜란 / 2024-06-28✅미국 전망: 매크로 불확실성, 대선 리스크 잠복해 있으나 실적 성장 지속되며 ’24년 하반기 위험선호 지속 전망. 시장 쏠림은 완화 기대✅중국 전망: ’24년 중국 경제성장률 5.0% 상향 조정, 불균형적 경기 회복 진행, 하반기 이슈로 시진핑 집권 3기의 정책 어젠다. 신품질 생산성과 산업구조 재편 주목하반기 S&P 500 지수 밴드를 5,250~5,800pt로 상..

삼성증권 [투자전략] 2024년 하반기 Global Asset Allocation: '예외주의'의 완화

삼성증권 [투자전략] 2024년 하반기 Global Asset Allocation: '예외주의'의 완화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삼성증권 [투자전략] 2024년 하반기 Global Asset Allocation: '예외주의'의 완화 / 유승민 / 2024-06-28✅하반기에도 위험 선호적 자산배분 전략 유지(주식 확대 vs. 채권 중립). 다만 美의 경기 확장 모멘텀 둔화, 中의 성장 부진 지속은 주식 가격 상승의 기울기를 점차 감소시킬 가능성✅주식 내 지역별 선호도는 미국, 한국 비중 확대 / 중국 중립 / 유로존 비중 축소. 다만, 글로벌 제조업 회복, 연준의 금리 인하 사이클 개시 기대로 국가 간 격차는 축소✅채권은 금리 상단 확인되었으나, 기대수익률은 ..

삼성증권 [투자전략] 2024.04 자본주의 4.0과 투자의 미래: 지정학 분석 특별보고서

삼성증권 [투자전략] 2024.04 자본주의 4.0과 투자의 미래: 지정학 분석 특별보고서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삼성증권 [투자전략] 자본주의 4.0과 투자의 미래: 지정학 분석 특별보고서 / 유승민 / 2024-04-18✅일련의 구조적 변화로 인해 자본주의 4.0 시대 본격화를 예상 ✅경제는 과거보다 높은 인플레, 성장 그리고 금리가 지속될 전망 ✅이에 따라 향후 10년은 실물자산, 가치주, 전통 경기민감 업종 주식 등이 승자가 될 것 2008년 금융위기 이후 패권 갈등, 팬데믹, 전쟁 등을 거치며 자본주의는 새로운 체제로 전환 중. 소위 ‘자본주의 4.0’. 빅 이벤트와 여러 구조적 환경변화의 중첩은 체제의 전환을 촉진할뿐더러, 서로 상승 작용을 일으켜..

삼성증권 [투자전략] 2024.01 2024년 지정학의 최대 변수, 美 대통령 및 의회 선거

삼성증권 [투자전략] 2024.01 2024년 지정학의 최대 변수, 美 대통령 및 의회 선거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삼성증권 [투자전략] 2024년 지정학의 최대 변수, 美 대통령 및 의회 선거 / 유승민 / 2024-01-05 지난 수년간 우리는 세계사적 전환의 소용돌이를 경험하고 있다. 미국의 단극(單極)약화가 중요한 배경이다. 양극경쟁과 다극경쟁이 혼재되며 탈냉전이 복합냉전으로 대체되었다. 경제와 시장을 움직이던 기존 질서와 규칙들도 흔들리며 불확실성이 극도로 커졌다. 이미 물줄기는 바뀌었고 되돌리기 어렵다. 다만 변화의 가속력과 예측 가능성이 관건일 따름이다. 11월 5일 미국의 선거는 그래서 중요하다. 트럼프는 전략적으로 재집권을 준비하며, 귀환 ..

삼성증권 [투자전략] 2023.10 지정학적 노선과 무역재편

삼성증권 [투자전략] 2023.10 지정학적 노선과 무역재편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삼성증권 [투자전략] 2023.10 지정학적 노선과 무역재편, 유승민, 2023-10-25 지정학적 노선과 무역재편: 지정학 분석 WTO는 최근 발표된 ‘2023년 세계무역보고서’에서 “지정학적 긴장으로 인한 글로벌 무역 분열의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고 주장. 코로나19와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국제무역이 지정학적 거리에 더욱 민감해졌기 때문. 이 결과 지정학적 ‘진영' 사이 상품 무역 흐름이 우방 진영 내 무역보다 4~6% 더 느리게 성장했다는 것. 본 보고서는 지정학적 진영 간 무역재편의 실체(reality)를 조사. 이를 위해 ‘외교정책 유사성지수(FPSI)’를 기준으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