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향 4

사람들은 왜 확률을 믿지 못할까, 휴리스틱 바이어스와 몬티 홀의 패러독스 (2)

안녕하세요. 시간과 자유를 찾아 최소한의 경제적 독립을 추적하는 자본추적자, 자추입니다. 51% 게임 손자병법 (김태수 저)의 '7장 사람들은 왜 확률을 믿지 못할까'에 나오는 내용 소개드립니다. 책은 기본적으로 겜블링에 대한 내용이지만 투자의 관점에서도 생각해보고 배울 점이 많아 주요 내용 몇몇 추려보겠습니다. 사람들은 왜 확률을 믿지 못할까; 휴리스틱 바이어스와 몬티 홀의 패러독스 (2) '몬티 홀의 패러독스'라고 불리는 이 문제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많다. 첫째, 우리의 직관은 매우 불완전하다는 것이다. 또 하나의 중요한 교훈은 당장의 후회나 손실을 회피하려는 마음이 더 큰 손해로 이어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앞에서 나는 '1, 2, 3, 43, 44, 45' 의 한 조합만을 고집..

사람들은 왜 확률을 믿지 못할까, 휴리스틱 바이어스와 몬티 홀의 패러독스 (1)

안녕하세요. 시간과 자유를 찾아 최소한의 경제적 독립을 추적하는 자본추적자, 자추입니다. 51% 게임 손자병법 (김태수 저)의 '7장 사람들은 왜 확률을 믿지 못할까'에 나오는 내용 소개드립니다. 책은 기본적으로 겜블링에 대한 내용이지만 투자의 관점에서도 생각해보고 배울 점이 많아 주요 내용 몇몇 추려보겠습니다. 사람들은 왜 확률을 믿지 못할까; 휴리스틱 바이어스와 몬티 홀의 패러독스 (1) 노루나 사슴은 주변 검불더미에서 조그맣게 '부스럭' 소리만 들려도 뒤도 돌아보지 않고 도망간다. 그 소리를 포식자가 냈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오랜 진화 과정을 통해 일단 부스럭 소리만 들리면 반사적으로 내빼고 보는 습관이 노루의 행동 패턴으로 자연스럽게 스며들었기 때문이다. 이것은 인간 역시 예외는 아니어서 논리적 ..

몬티 홀 문제 (Monty Hall problem)

안녕하세요. 시간과 자유를 찾아 최소한의 경제적 독립을 추적하는 자본추적자, 자추입니다. 유명한 몬티 홀 문제(The Monty Hall Problem)입니다. 투자심리와도 연관시킬 수 있을 것 같고요, 주식투자를 하고 있는 저에게(또는 미래의 저에게) 보내는 경고 이기도 합니다. 항상 내 생각이 틀릴 수 도 있다고 다시 한번 되돌아보고 시장에 맞서지 말고 겸손해 지기 위해서입니다. 몬티 홀 문제(영어: Monty Hall problem)는 미국의 TV 게임 쇼 《거래를 합시다(Let's Make a Deal)》에서 유래한 퍼즐입니다. 퍼즐의 이름은 이 게임 쇼의 진행자 몬티 홀의 이름에서 따온 내용인데요, 퍼즐의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세 개의 문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문 뒤에 있는 선물을 가질 수 ..

우리는 왜 투자에 실패할까? 행동경제학에서 바라보는 심리적 편향

안녕하세요. 시간과 자유를 찾아 최소한의 경제적 독립을 추적하는 자본추적자, 자추입니다. 우리는 왜 투자에 실패할까요? 장기간으로 볼 때 주식은 오르므로, 중간에 팔지 않게 계속해서 사서 모아 나간다면 적지 않은 수익을 거둘 수 있다고 합니다. 전설적인 투자자 앙드레 코스톨라니는 “일단 우량주 몇 종목을 산 다음, 수면제를 먹고 몇 년 동안 푹 자라”라고 말했고, 워런 버핏 역시 이러한 말을 남겼습니다. "주식 시장이 10년간 문을 닫아도 불안해하지 않고 보유할 수 있는 종목을 선택하라.” 하지만, 장기적으로 꾸준히 투자 수익을 올리는 투자자는 극소수라고 하는데요, 바로 인간은 전통적인 경제학에서 말하는 것처럼 객관적이고 합리적이기보다는, 주관적이고 비합리적인 선택을 하는 존재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