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 Guide 45

DB금융투자 [Econ Guide] 2024.01 CPI 반등에도 여전히 2%대 실질기준금리

DB금융투자 [Econ Guide] 2024.01 CPI 반등에도 여전히 2%대 실질기준금리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DB [Econ Guide] CPI 반등에도 여전히 2%대 실질기준금리, 박성우, 2024-01-12 ✅ 12월 미국 CPI 인플레이션 3.4%로 반등. 1월에는 2%대 후반으로 둔화 예상 ✅ 디스인플레이션 막바지 과정에서 소음 발생 가능하나 추세를 거스르지는 못할 것 ✅ 미 연준의 금리인하는 이르면 3월 늦어도 5월에는 가능할 전망 12월 미국 CPI 인플레이션 3.4%로 반등. 1월에는 2%대 후반으로 둔화 예상: 12월 미국 소비자물가 지수는 전월 대비 0.303%, 전년 동월 대비 3.35% 상승했다. 식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전월..

DB금융투자 [Econ Guide] 2023.12 FOMC: 인플레이션 파이팅 진전 공식화

DB금융투자 [Econ Guide] 2023.12 FOMC: 인플레이션 파이팅 진전 공식화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DB [Econ Guide] FOMC: 인플레이션 파이팅 진전 공식화, 박성우, 2023-12-14 ✅ 12월 FOMC 연준은 정책금리 인상이 끝났다는 강한 신호를 제시 ✅ 실질 긴축 수위를 낮추며 시장 기대감 일부 수용. 다만 여전히 매우 긴축적인 정책 경로 제시 ✅ 인플레이션이 순조롭게 둔화될 경우 금리인하 폭은 예상보다 커질 수 있어. 이르면 3월 첫 인하 가능 12월 FOMC 연준은 정책금리 인상이 끝났다는 강한 신호를 제시: 연준은 예상대로 정책금리를 5.25~5.50%로 동결했다. 통화정책 결정문에서 긴축 종료를 시사하는 문구 변화가..

DB금융투자 [Econ Guide] 2023.11 FOMC: financial 추가 & firming

DB금융투자 [Econ Guide] 2023.11 FOMC: financial 추가 & firming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DB [Econ Guide] FOMC: financial 추가 & firming, 박성우, 2023-11-02 ✅ 연준 추가 인상 가능성은 열어두나 긴축된 금융환경에 당분간 동결의 여유 확보 ✅ 긴축의 여파는 시차를 두고 점차 확대될 수 있어. 추가 금리인상 필요성 낮을 듯 ✅ 본격 비둘기 전환은 아닐 것. 연준의 Longer 전략은 결국 경기 하락폭을 키울 듯 연준 추가 인상 가능성은 열어두나 긴축된 금융환경에 당분간 동결의 여유 확보: 이번 FOMC에서 연준은 예상대로 연방기금금리 목표 범위를 5.25~ 5.50%로 유지했다. 통..

DB금융투자 [Econ Guide] 2023.10 고용 안도에도 지정학적 불확실성 부상

DB금융투자 [Econ Guide] 2023.10 고용 안도에도 지정학적 불확실성 부상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DB [Econ Guide] 고용 안도에도 지정학적 불확실성 부상, 박성우, 2023-10-10 ■ 미국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헤드라인은 컨센 상회. 근원항목은 컨센에 부합 ■ 10~11월 중 전년 대비 근원CPI 반등 가능성 있어. 하지만 디스플레이션 추세는 유효할 전망 ■ 연준의 추가 기준금리 인상 우려를 지우기는 아직 어려울 듯 미국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헤드라인은 컨센 상회. 근원항목은 컨센에 부합: 9월 미국 소비자물가는 전월 대비 0.4%, 전년 동월 대비 3.7% 상승하며 컨센서스보다 소폭 높았다. 식품가격은 전월보다 0.2% 오르..

DB금융투자 [Econ Guide] 2023.09 FOMC:실질정책금리는 내년에도 인상?

DB금융투자 [Econ Guide] 2023.09 FOMC:실질정책금리는 내년에도 인상?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Econ Guide] FOMC:실질정책금리는 내년에도 인상?, 박성우, 2023-09-21 ■ 줄어든 점도표 2024년 금리인하 폭 & 사라지지 않은 Policy Firming → Longer 메세지 전달 ■ 실질정책금리에 보다 명확히 드러난 긴축 의지, 의도적인 과잉 긴축인가 ■ 긴축 수위를 높일 경우 경기 및 금융 리스크 증가. 실제 24년 금리인하 폭은 연준 예상보다 클 듯 줄어든 점도표 2024년 금리인하 폭 & 사라지지 않은 Policy Firming Longer 메세지 전달: 이번 FOMC에서 연준은 금융시장 기대보다 높은 수준의 정..

DB금융투자 [Econ Guide] 2023.09 5가지 궁금증 짚어보기

DB금융투자 [Econ Guide] 2023.09 5가지 궁금증 짚어보기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Econ Guide] 5가지 궁금증 짚어보기, 박성우, 2023-09-05 #5가지 궁금증 짚어보기 1. 연준의 금리인하는 언제 얼마나 가능할까? : 연준의 첫 금리인하는 침체 같은 경기 요인보다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될 실질기준금리 수위 조절 필요성에 의해 실시될 전망이다. 24년 2분기 근원CPI가 3% 하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에 따라 내년 상반기 FOMC에서 금리인하를 실시할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금리인하폭은 2024년 말까지 총 100bp 정도를 예상한다. 2. 미국 장기금리는 더 오를까?: 10년 국채수익률은 8월 하순 장중 기록했던 4.36%가..

DB금융투자 [Econ Guide] 2023.08 Energy 부담을 상쇄할 Core

DB금융투자 [Econ Guide] 2023.08 Energy 부담을 상쇄할 Core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Econ Guide] Energy 부담을 상쇄할 Core, 박성우, 2023-08-11 ■ 연준의 인내심에 부합한 7월 소비자물가 보고서, 중고차, 주거비 주도의 디스플레이션 지속 전망 ■ 에너지 가격 반등은 나머지 소비지출 여력을 구축, 디스플레이션 추세를 뒤집기 어려울 듯 ■ 8~9월은 근원인플레이션 둔화 가속 시기. 연준의 추가 긴축 우려 점차 줄어들 것 연준의 인내심에 부합한 7월 소비자물가 보고서: 7월 미국 소비자물가는 컨센서스에 대체로 부합하거나 약간 하회하는 수준으로 발표됐다. 헤드라인 항목은 전월 대비 0.17% 상승하며 6월 월간..

DB금융투자 [Econ Guide] 2023.08 연준의 인내심 확인 구간

DB금융투자 [Econ Guide] 2023.08 연준의 인내심 확인 구간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Econ Guide] 연준의 인내심 확인 구간, 박성우, 2023-08-07 ■ 연준의 인내심에 부합한 7월 고용보고서 ■ 7월 인플레이션 연준은 헤드라인보다 근원지표에 더 주목할 듯 ■ 최근의 장기금리 상승, 시중은행 대출 조건 강화는 연준의 추가 긴축 위험을 낮추는 요인 연준의 인내심에 부합한 7월 고용보고서: 7월 고용보고서는 연준의 지난달 금리인상이 이번 사이클의 마지막이었을 수 있다는 인식에 대체로 부합했다고 본다. 컨센을 하회한 비농업 급여 일자리 수와 6월 수치 하향 수정, 크게 늘어난 시간제 근로자, 주간 근무시간 감소는 고용시장의 완만한 냉각..

DB금융투자 [Econ Guide] 2023.07 끝나가는 Additional policy firming

DB금융투자 [Econ Guide] 2023.07 끝나가는 Additional policy firming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Econ Guide] 끝나가는 Additional policy firming, 박성우, 2023-07-27 ■ Fed 25bp 인상. FF금리 5.25~5.50%. 긴축 종료 신호는 보내지 않아 ■ 헤드라인 인플레이션 반등하나 근원인플레이션은 둔화 지속. 추가 인상 가능성 낮아 ■ 높은 실질기준금리 지속. 신용 긴축이 경기 후퇴로 이어져 이르면 1Q24 금리인하 가능 Fed 25bp 인상. FF 5.25~5.50%. 긴축 종료 신호는 보내지 않아: 연준은 예상대로 25bp정책금리 인상을 만장일치로 의결했다. FF금리 목표범위는 ..

DB금융투자 [Econ Guide] 2023.07 디스인플레이션 원투펀치 주거비와 중고차

DB금융투자 [Econ Guide] 2023.07 디스인플레이션 원투펀치 주거비와 중고차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Econ Guide] 디스인플레이션 원투펀치 주거비와 중고차, 박성우, 2023-07-13 ■ 에너지 주도 디스플레이션 마무리, 미국 헤드라인 CPI는 당분간 3%대 초중반 수준 전망 ■ 주거비와 중고차가 바통을 이어받아 디스인플레 지속시킬 것. 근원CPI 4분기 3%대 진입 예상 ■ 6월 FOMC는 Hawkish 동결, 7월 FOMC는 Dovish 인상일 듯 에너지 주도 디스플레이션 마무리, 미국 헤드라인 CPI는 당분간 3%대 초중반 수준 전망: 미 노동부가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2%, 전년 대비 3% 상승했다. 기저효..

DB금융투자 [Econ Guide] 2023.06 침체가 오지 않는 이유

DB금융투자 [Econ Guide] 2023.06 침체가 오지 않는 이유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Econ Guide] 침체가 오지 않는 이유, 박성우, 2023-06-26 ■ 전미경제연구소(NBER)의 경기 주기 판단 지표는 침체가 가까이 있지 않음을 시사 ■ 과거 사이클보다 현저하게 길어진 긴축의 파급 시차. 시차의 문제일 뿐 침체 위험 잔존 ■ 신용 긴축은 진행중. 저신용 기업의 조달 수단인 하이일드 및 레버리지론 부실에도 주목할 필요 전미경제연구소(NBER)의 경기 주기 판단 지표는 침체가 가까이 있지 않음을 시사: 전미경제연구소(NBER)가 정의하는 침체는 경제 전반에 걸쳐 몇 달 이상 지속되는 경제활동의 현지한 감소다. 절대적 기준은 없지만 NB..

DB금융투자 [Econ Guide] 2023.05 Fed 멈춤 재확인 & 단기 걸림돌

DB금융투자 [Econ Guide] 2023.05 Fed 멈춤 재확인 & 단기 걸림돌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Econ Guide] Fed 멈춤 재확인 & 단기 걸림돌, 박성우, 2023-05-21 ■ 파월의장 발언을 통해 "충분한 수준의 긴축 도달 재확인. 다만 인하로의 전환에는 신중 ■ 미국 주가지수의 추가 상승을 위해서는 연준의 본격 완화 전환 기대감이 필요할 듯 ■ 부채한도 문제가 해결되면 단기적으로 유동성 압박 국면이 찾아올 수 있어 파월의장 발언을 통해 "충분한 수준의 긴축 도달" 재확인. 다만 인하로의 전환에는 신중: 지난 주말 제롬 파월 의장의 "과잉 긴축 위험과 과소 긴축 위험이 균형을 이루고 있다" 발언은 지난 5월 FOMC 성명서에서의 ..

DB금융투자 [Econ Guide] 2023.05 디스인플레이션은 하반기에도 계속된다

DB금융투자 [Econ Guide] 2023.05 디스인플레이션은 하반기에도 계속된다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Econ Guide] 디스인플레이션은 하반기에도 계속된다, 박성우, 2023-05-11 ■ 4월 미국 CPI 컨센 부합. 주거비용 모멘텀 둔화 이어져, 상품가격 반등은 일시적 ■ 주거비용 제외 근원 서비스 및 Sticky 항목 인플레이션도 완화 지속 ■ 하반기에도 디스플레이션 지속 전망. 연준의 금리 동결 및 하반기 인하 전망 4월 미국 CP 인플레이션, 헤드라인 및 근원지수 모두 컨센서스에 부합: 4월 미국 CPI 인플레이션은 컨센서스(블룸버그 집계)에 부합했다. 헤드라인 CPI는 전월 대비 0.4%, 전년 대비 4.9% 상승했고 근원지수는 전월..

DB금융투자 [Econ Guide] 2023.04 인플레이션 정상화 사이클과 자산시장

DB금융투자 [Econ Guide] 2023.04 인플레이션 정상화 사이클과 자산시장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Econ Guide] 인플레이션 정상화 사이클과 자산시장, 박성우, 2023-04-23 ■ 인플레이션 정상화 사이클과 자산시장 현재와 비교 가능한 과거 인플레이션 사이클은 1970~1990년대 기간 총 5번의 사례: 미국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기록한 22년 6월 이후 정상화가 진행된 지 9개월이 넘게 흘렀다. 과거 1970년 이후 인플레이션 사이클 분석을 통해 향후 금융시장 시사점을 도출해 보자. 2000년대 이후는 연준이 인플레이션 억제에 전념해야 했던 환경이 아니었기 때문에 1970년, 1974년, 1980년, 1984년, 1990년 5번의 인플..

DB금융투자 2023.04 실질수익률 하향 안정은 자산가격 지지 요인

DB금융투자 2023.04 실질수익률 하향 안정은 자산가격 지지 요인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실질수익률 하향 안정은 자산가격 지지 요인, 박성우, 2023-04-10 ■ 은행권 대출 긴축은 실업률 상승으로 이어질 것, 노동 수급 정상화 진행되며 인플레 리스크 완화 은행권 대출 긴축은 실업률 상승으로 이어질 것, 노동 수급 정상화 진행되며 인플레 리스크 완화: 미국 3월 고용보고서는 견조한 현재 노동시장 상황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고용지표의 후행성,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이후 긴축된 신용 여건이 아직 고용시장에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미국 소형은행 대출 증가율은 전년 대비 10%대로 아직 견조한 수준이지만 중소형 은행권 스트레스는 향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