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카테고리1/투자 [HouseVIEW]

NH [전략 인사이드] 2025.06 AI 미니 버블 가능성, 한국 닷컴버블의 트리거는?

자본추적자 2025. 6. 19. 06:00


NH [전략 인사이드] 2025.06 AI 미니 버블 가능성, 한국 닷컴버블의 트리거는?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NH [전략 인사이드] AI 미니 버블 가능성, 한국 닷컴버블의 트리거는?, 2025.06.11, 이상준

 

현재 한국 AI 산업은 ① 기술의 대중화, ② 정부의 산업 육성, ③ 유동성 환경 개선의 측면에서 1990년대 후반 인터넷 산업 성장 당시와 환경이 유사합니다. 학습효과로 인해 극단적 버블 및 급락이 나타나기는 어렵겠지만 미니 버블 발생 가능성은 존재합니다. 한국형 AI 성장주를 주목할 시점입니다.

 

▶ '90년대 인터넷 산업 성장도 늦었던 한국

AI 기술 경쟁에서 뒤처졌다는 우려가 커지며 글로벌 AI 랠리에서 소외된 한국은 과거 인터넷 산업 성장도 늦었음. 당시 산업 후발주자+열악한 인터넷 인프라, IMF 외환위기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 다만 '98년 이후 빠르게 성장했는데, 이는 ① 인터넷 대중화, ② 김대중 정부의 IT 산업 육성, ③ 유동성 환경 개선이 성장 트리거로 작용했기 때문.

▶ ① 산업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는 기술의 대중화

인터넷의 대중화는 인터넷 서비스 수요 확대로 이어지며 미국은 물론 한국에서도 다양한 IT 기업들의 등장 배경이 되었고, 이 기업들이 다시 인터넷 산업을 성장시켰음. ChatGPT로 대표되는 생성형 AI가 AI 대중화의 시발점이 된 가운데 한국에서도 다양한 AI 기업 및 서비스가 등장. 기술의 대중화는 인터넷 산업 성장 당시와 마찬가지로 향후 정책 및 유동성과 맞물리며 한국 AI 산업 성장의 큰 동력으로 작용할 전망.

▶ ② 성장을 가속화하는 정부의 산업 육성책

인터넷의 대중화가 한국 인터넷 기업들의 등장 배경이었다면, 김대중 정부의 IT 산업 육성책은 이들의 성장을 가속화. 특히 인터넷 인프라 확충을 적극 추진하며 한국 인터넷 보급 확대에 크게 기여. 새롭게 출범한 이재명 정부는 김대중 정부가 IT 산업 육성에 힘썼듯 AI를 핵심 성장 동력으로 삼고 한국형 AI 개발, R&D 확대, AI 인프라 구축 등을 강하게 추진할 전망. 이는 한국의 열악한 AI 산업 환경 개선에 긍정적.

▶ ③ 성장의 또 다른 배경, 유동성 환경 개선

1995년 Fed의 기준금리 인하, 1998년 이후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로 인한 유동성 환경 개선은 인터넷 산업 성장의 또 다른 배경으로 작용. 2025년 Fed는 Hard Data의 둔화를 반영해 하반기 기준금리 인하를 재개할 전망이며, QT(양적긴축) 역시 종료할 것으로 예상. 5월 기준금리를 인하한 한국은행은 하반기에도 추가 금리 인하를 단행할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