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353

미래에셋 2025.01 [Fixed Income Monthly] 1월 정책 확인과 자신감 회복

미래에셋 2025.01 [Fixed Income Monthly] 1월 정책 확인과 자신감 회복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미래에셋 [Fixed Income Monthly] 1월 정책 확인과 자신감 회복, 민지희, 2024-12-30[1월] 정책 확인과 자신감 회복 미국: 금리 상승 속도 조절 전망 미 국채 10년 금리는 4.5% 위에서 상승 속도 조절 전망. 트럼프 2기 정책 강도 및 시점을 확인해야겠지만 인플레 둔화 기조 재확인되며 금리 하락을 견인할 전망. 관세정책 경계심, 연말 할인판매 등에 가계는 일부 상품 소비를 앞당겨 진행. 연초 소비 모멘텀 약화, 주거비 인플레 하향 안정과 소수의 고임금 업종 제외하면 임금 상승세 둔화 중. 인플레 재가속 우려는 다..

[25.01.05] 주간시황기록, 키워드

미국 제조업 업황이 6개월래 최고 수준으로 개선, 지수 모두 상승 마감 미국 12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49.3으로 집계, 직전 달 수치인 48.4를 0.9포인트 상회 테슬라, 실망스러운 실적 발표로 주가 6%대 급락 힌덴버그 리서치, 카바나 실적 부풀림 주장 거래소, ''산타 랠리'' 기대 미충족 연준 금리 인하 중지 소식, 금융시장 변동성 예상  01/06 (월) 미국 11월 제조업수주 01/07 (화) 미국 12월 ISM 서비스업PMI, 11월 구인, 이직 보고서 01/08 (수) 한국 12월 FOMC 회의록 01/09 (목) 미국 휴장 01/10 (금) 미국 12월 고용보고서, 1월 미시간대 소비자신뢰지수다음 주 주요실적발표 01/06 (월)  01/07 (화)  01/08 (수)  0..

삼성증권 [Global Equity Insights] 1월: 정책 우려가 실적 기대를 꺾을 것인가

삼성증권 [Global Equity Insights] 1월: 정책 우려가 실적 기대를 꺾을 것인가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삼성증권 [Global Equity Insights] 1월: 정책 우려가 실적 기대를 꺾을 것인가, 2024-12-27, 유승민ㆍ 1월 최대 변수는 트럼프 취임에 따른 정책 불확실성. 특히 보편적 관세 시행 향방에 주목. 협상 후 빨라야 하반기 경 국가/품목별 차등 실시 예상.ㆍ무역법 제301조에 따라 관세 시행되려면 USTR의 조사 절차가 필요하고, 정치적/법적 반발 대비 위한 협상력 극대화 등 고려 사항 존재.ㆍ또 다른 변수는 제조업 경기 회복. 과거 연준의 금리 인하 이후 2~3분기 후 제조업 경기 회복 출현. 내년 하반기도 제조업 ..

NH투자증권 [글로벌 투자전략] 1월호: 1월 예고된 파도, 이를 대비한 전략

NH투자증권 [글로벌 투자전략] 1월호: 1월 예고된 파도, 이를 대비한 전략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NH 글로벌 투자전략 1월호: 1월 예고된 파도, 이를 대비한 전략 / 2024.12.26 / 김환 ▶ 글로벌 Top-Down 포트폴리오 전략: 이벤트가 많은 시기, 변동성 활용 필요변동성 확대 국면, 미국과 중국 주식시장 조정 시 주목할 시장변동성 확대 전망: 1월 다양한 이벤트 대기. CES(1/7~10), 실적 시즌 개막(1월 중~), 트럼프 대통령 취임(1/20), 다보스 포럼(1/20~24), FOMC(1/28~29), 트럼프 연두교서(1월 말). 정책 및 다양한 이벤트가 산재해 있어, 고밸류에이션 상황하 글로벌 주식시장은 민감하게 반응할 것- 변동성..

DB금융투자 [투자의시대] 2025.01 연준의 전쟁준비와 국내 정치 불안이 가져올 이중침체

DB금융투자 [투자의시대] 2025.01 연준의 전쟁준비와 국내 정치 불안이 가져올 이중침체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DB [투자의 시대; Moon Shot] 연준의 전쟁준비와 국내 정치 불안이 가져올 이중침체 / 문홍철 / 2024-12-27연준의 전쟁준비와 국내 정치 불안이 가져올 이중침체국내경기는 이중고에 처해 있다. 수출 둔화와 내수 침체 속에서 정치 불확실성까지 불거지며 국내 경제의 바닥을 알기 어려울 정도로 추락하고 있다. 국내 위험 자산 투자는 쉽지 않은 국면이니 최대한 거리를 두고 안전자산의 비중을 계속 늘려가야 할 때이다. 한국뿐만 아니다. 미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는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대부분 비슷한 침체 상황이며 향후 미국 신정부와 진..

DB금융투자 [전략의 샘] 2024.12 혹시 해드앤숄더를 만드는 중인가?

DB금융투자 [전략의 샘] 2024.12 혹시 해드앤숄더를 만드는 중인가?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DB [전략의 샘] 혹시 해드앤숄더를 만드는 중인가? / 강현기 / 2024-12-22 ✅매크로 환경 상 미국 유동성이 2024년에는 증가했지만, 2025년에는 감소할 수 있어✅미국 주식시장은 그간 확대된 유동성으로 왜곡된 부분이 정상화될 가능성이 존재✅엔비디아 주가의 해드앤숄더 패턴 형성 여부를 관찰하며 리스크 관리하는 것 바람직 해드앤숄더는 기술적 분석의 용어로 추가의 상승이 마무리될 때 상단에서 만들어지는 대표적인 패턴이다. 만약, 주도주에서 해드앤숄더가 나타나기 시작하면 경계해야 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 서 최근 엔비디아 주가를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

라오어 밸류 리밸런싱(VR) 매매일지(24년 12월 넷째 주) #096

안녕하세요. 시간과 자유를 찾아 최소한의 경제적 독립을 추적하는 자본추적자, 자추입니다.이전 포스팅에서 라오어님의 Value Rebalancing(VR)에 대해 말씀드렸는데요, Value Averaging과 Rebalancing을 접목한 개념으로, 장기투자에 격주(주기적) 목표 value를 미리 세우고, 추가 매수매도를 통해 목표 value값 근처로 평가액을 맞추어 나가는 방법이었습니다.   주머니(Pool)를 별도 하나 만들어 두고 매월 일정 금액을 꾸준히 주머니(Pool)에 적립하고, 평가액이 목표 value보다 낮으면 주머니(Pool)에서 투자금을 꺼내 추가 매수하여 목표 value에 맞추고, 반대로 평가액이 목표 value보다 크다면 일부 매도하여 목표 value에 맞춤과 동시에 수익은 주머니(P..

[24.12.29] 주간시황기록, 키워드

애플 시가총액 4조 달러 근접, 역사적 최고가 경신 컨퍼런스보드 소비자신뢰지수 104.7로 하락, 예상을 크게 하회 뉴욕증시는 연말 앞둔 차익실현 매물로 일제히 큰 폭으로 하락 미국 실업수당 청구 21.9만 건, 3년 만에 계속 청구 최대 연준 금리정책 경계감 여전 12/30 (월) 미국 국채 3,6개월물 입찰 12/31 (화) 미국 12월 댈러스 연은 서비스업지수 01/01 (수) 한국 12월 수출동향  01/02 (목) 미국 11월 건설지출 01/03 (금) 미국 12월 ISM 제조업 PMI 다음 주 주요실적발표 12/30 (월)  12/31 (화)  01/01 (수)  01/02 (목)  01/03 (금)

삼성증권 [산업리포트] 2024.12 글로벌 반도체: 커스텀 반도체 - 진짜 명품은 맞춤 제작이다

삼성증권 [산업리포트] 2024.12 글로벌 반도체: 커스텀 반도체 - 진짜 명품은 맞춤 제작이다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삼성증권 [산업리포트] 글로벌 반도체: 커스텀 반도체 - 진짜 명품은 맞춤 제작이다, 문준호, 2024-12-17ㆍ 커스텀 반도체 산업과 밸류 체인 점검ㆍ 브로드컴(AVGO US), 마벨 테크놀로지 그룹(MRVL US), 엔비디아 (NVDA US), TSMC (2330 TW / TSM US)WHAT’S THE STORY?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문준호입니다. 2024년은 2023년과는 또다른 AI 광풍의 해였습니다. 2023년에 AI 수혜주들이 급등하기 시작했다면, 2024년에는 옥석 가리기가 펼쳐지는 승자 독식 구조의 해였습니다. 이 가운데 ..

NH [전략 인사이드] 2024.12 신고가 경신한 독일 주식시장, 더 오를까?

NH [전략 인사이드] 2024.12 신고가 경신한 독일 주식시장, 더 오를까?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NH [전략 인사이드] 신고가 경신한 독일 주식시장, 더 오를까?, 2024.12.17, 김환 최근 경기 부진에도 불구 독일 주가지수의 신고점 경신 지속. 다만 그 추세의 장기화 가능성 낮음. 펀더멘털 및 정책 불확실성 때문. 현 시점에서의 유로존 주식시장의 추가 매수에 대한 실효성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 ▶ 독일 주가지수 신고점 경신의 이유: 대외 수요 회복 기대 + ECB 정책 독일 주식시장은 올해 견조한 상승세 시현. 특히 미 대선 이후 독일 주가지수는 신고점을 경신하며 미국보다 더 큰 폭 상승. 반면 독일의 경기 모멘텀은 미국에 비해 부진한 상황...

DB금융투자 [Econ Guide] 2024.12 잘 모르겠으니 최대한 보수(매파)적으로

DB금융투자 [Econ Guide] 2024.12 잘 모르겠으니 최대한 보수(매파)적으로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DB [Econ Guide] 잘 모르겠으니 최대한 보수(매파)적으로 / 박성우 / 2024-12-19✅연준 FF금리 목표 4.25~4.50% 도달. 1단계 금리인하 사이클 종료 공식화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높은 거시 불확실성 및 중립금리 추가 상승. 당분간 매파적 연준 불가피✅인플레이션에 민감해질 2단계 인하 사이클. 우려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 둔화 이어질 전망 연준 FF금리 목표 4.25~4.50% 도달. 1단계 금리인하 사이클 종료: FOMC는 예상대로 25bp 정책금리 인하를 의결하며 FF금리 목표는 4.25~4.50%에 도달했다. 9월..

DB금융투자 [전략의 샘] 2024.12 남겨진 과제

DB금융투자 [전략의 샘] 2024.12 남겨진 과제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DB [전략의 샘] 남겨진 과제 / 강현기 / 2024-12-15 ✅12.3 사태 중 일부는 단발성에 그치지 않고 긴 호흡에서 한국 주식시장의 펀더멘탈에 영향✅한국 수출 증가율 하락 시기에 트럼프 행정부 2기와의 교역 협상 진행할 컨트롤 타워 약화✅당분간 한국 주식시장은 일시적 반등 넘어선 상승 기대하기 어려워, 방어적 포트폴리오 강화 최근 8 거래일 동안 한국 주식시장은 높은 변동성을 보였다. 12.3 사태의 위중함을 받아들여 주가가 하락하더니, 이후 12.14 국회에서 대통령 탄핵소추 가결이 이뤄지기 전까지의 상황을 미리 반영하며 주가가 복원됐다. 이제 한국 주식시장은 12.3 ..

[24.12.22] 주간시황기록, 키워드

"산타 랠리 올까" PCE 선방에 고무…동반 상승 마감 美 3분기 GDP 성장률 3.1%로 예상치 상회 나스닥 상승 1.2%로 사상 최고치 경신 반도체 관련주, 브로드컴(+11%) 상승 주도 마이크론, 실적 전망 하락으로 16% 폭락 다우 10거래일 연속 하락 및 나스닥 -3.6% 급락 연준, 0.25% 금리 인하 단행, 내년 두 차례 인하 예상. 10년물 미국 국채금리 4.5% 돌파 한국, MSCI 신흥국 지수 비중 감소 가능성  12/23 (월) 미국 12월 CB 소비자신뢰지수 12/24 (화) 미국 11월 내구재주문 12/25 (수) 크리스마스 12/27 (금) 미국 11월 도매ㆍ소매재고다음 주 주요실적발표 12/23 (월)  12/24 (화)   12/25 (수) 크리스마스  12/26 (목)  ..

삼성증권 [산업리포트] 2024.12 2025년 글로벌 소비재 투자 전략: 라이프 트렌드를 잡아라

삼성증권 [산업리포트] 2024.12 2025년 글로벌 소비재 투자 전략: 라이프 트렌드를 잡아라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삼성증권 [산업리포트] 2025년 글로벌 소비재 투자 전략: 라이프 트렌드를 잡아라 / 황선명 / 2024-12-12ㆍ Part 1. 2025 글로벌 소비재: 라이프 트렌드를 잡아라 ㆍ Part 2. 유통, 미국 소비는 강하다: 월마트, 코스트코 ㆍ Part 3. 스포츠웨어, 러닝화는 과학입니다: 덱커 아웃도어, 온 홀딩, 아식스 ㆍ Part 4. 럭셔리, 진짜 럭셔리는 불황을 모른다: 에르메스, 프라다 ㆍ Part 5. 프랜차이즈, 가성비 + 건강 + 즐거움 : 맥도날드, 치폴레, 더치브로스 ㆍ Part 6. 필수소비재, 배당왕의 매력 ..

삼성증권 [산업리포트] 2024.12 트럼프 2기와 LNG: LNG 인프라 산업에 긍정적인 정책 기대

삼성증권 [산업리포트] 2024.12 트럼프 2기와 LNG: LNG 인프라 산업에 긍정적인 정책 기대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삼성증권 [산업리포트] 트럼프 2기와 LNG: LNG 인프라 산업에 긍정적인 정책 기대 / 김도현 / 2024-12-09✅미국 행정부와 의회를 공화당이 석권하면서 LNG에 대한 시장의 관심 확대✅공화당의 성향이 LNG 인프라 산업에 긍정적일 것으로 전망하는 세 가지 이유✅셰니어 에너지 및 에머슨 일렉트릭에 대한 긍정적인 의견을 유지 WHAT’S THE STORY? 미국 대선의 결과가 확정된 이후, 화석연료의 개발/인프라/수출과 관련된 기업들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대표적인 LNG 수출기업인 셰니어 에너지(LNG U..

DB금융투자 [Econ Guide] 2024.12 실질(real)도 주요국 대비 긴축적인 미국

DB금융투자 [Econ Guide] 2024.12 실질(real)도 주요국 대비 긴축적인 미국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DB [Econ Guide] 실질(real)도 주요국 대비 긴축적인 미국 / 박성우 / 2024-12-12✅미국 11월 근원 CPI 전월 대비 +0.31% 다소 느리지만 인플레이션 정상화 궤도 부합✅주요국 대비 덜 완화적인 미국의 통화정책 환경 당분간 이어질 듯✅Fed 통화정책은 여전히 인플레이션을 억제할 만큼 제약적. 내년 3~4회 금리인하 경로 유효 미국 11월 근원 CPI 전월 대비 +0.31% 다소 느리지만 인플레이션 정상화 궤도 부합: 11월 미국 소비자물가는 헤드라인 및 근원항목 모두 예상에 부합했다. 식품/에너지 제외 근원지수는 ..

DB금융투자 [전략의 샘] 2024.12 2025년 찾아올 두 번의 승부 구간

DB금융투자 [전략의 샘] 2024.12 2025년 찾아올 두 번의 승부 구간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DB [전략의 샘] 2025년 찾아올 두 번의 승부 구간 / 강현기 / 2024-12-08 ✅한국의 정치 문제 및 대외 환경 등에 따라 향후 수개월간 주식시장 추가 변동성 확대 불가피✅그러나 투자 시계를 넓혀 보면 수익률 제고시킬 수 있는 2025년 두 번의 승부 구간이 존재✅2025년 상반기 동안 중소형주의 개별 움직임, 2025년 하반기부터 새로운 주도주의 태동 주목 주식시장은 그 속성상 불확실성을 싫어한다. 미래가 불투명하면 주가 부진은 피할 수 없다. 최근 한국의 정치적 문제뿐만 아니라 대외 환경 측면에서도 불확실성은 상당하다. 이에 따라 일정 기간 ..

라오어 밸류 리밸런싱(VR) 매매일지(24년 12월 둘째 주) #095

안녕하세요. 시간과 자유를 찾아 최소한의 경제적 독립을 추적하는 자본추적자, 자추입니다.이전 포스팅에서 라오어님의 Value Rebalancing(VR)에 대해 말씀드렸는데요, Value Averaging과 Rebalancing을 접목한 개념으로, 장기투자에 격주(주기적) 목표 value를 미리 세우고, 추가 매수매도를 통해 목표 value값 근처로 평가액을 맞추어 나가는 방법이었습니다.   주머니(Pool)를 별도 하나 만들어 두고 매월 일정 금액을 꾸준히 주머니(Pool)에 적립하고, 평가액이 목표 value보다 낮으면 주머니(Pool)에서 투자금을 꺼내 추가 매수하여 목표 value에 맞추고, 반대로 평가액이 목표 value보다 크다면 일부 매도하여 목표 value에 맞춤과 동시에 수익은 주머니(P..

[24.12.15] 주간시황기록, 키워드

브로드컴 호실적을 기록 사상 처음으로 시가총액 1조달러를 돌파, 반도체 지수도 급등 CPI 상승률 예상치 부합, 12월 금리 인하 기대 유지 테슬라 주가 모건스탠리의 긍정적 평가로 3% 상승 알파벳, 양자컴퓨터 개발 소식에 5.6% 상승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관세 정책 우려 생산자물가 지표 상승, 예측 상회한 제조업 물가 (PPI +0.4%) 엔비디아, 중국 반독점 조사로 주가 큰 타격, AMD도 동반 하락   12/16 (월) 중국 11월 산업생산, 소매판매 12/17 (화) 미국 11월 산업생산, 소매판매 12/18 (수) 미국 FOMC회의, 제롬파월 연준의장 기자회견 12/19 (목) 미국 11월 CB 경기선행지수,  12/20 (금) 미국 11월 PCE물가지수, 미국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다음 주..

NH투자증권 2024.12 테슬라 FSD v13.2 배포

NH투자증권 2024.12 테슬라 FSD v13.2 배포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NH투자증권 / 테슬라 FSD v13.2 배포 / 2024.12.03 / 고민성 ▶Park to Park 시스템 구축에 따른 운전자 개입 빈도 감소 기대 11월 30일(현지시간 기준) 테슬라는 FSD(Supervised) v13.2를 제한된 일부 고객 대상으로 배포했다고 발표했다. FSD v13에 대한 시장의 관심은 지난해 말 자율주행 관련 기술 노선을 전면 수정한 FSD v12에 대한 관심만큼이나 높은 상황인데, 이는 테슬라가 2025년 FSD v13을 통해 FSD(Unsupervised)를 출시할 계획이기 때문이다. FSD v13의 기술 완성도는 테슬라의 FSD(Unsuper..

삼성증권 [산업리포트] 2024.12 트럼프 대통령 2기와 전통산업: 보호받으면 미국 제조업이 좋아집니까?

삼성증권 [산업리포트] 2024.12 트럼프 대통령 2기와 전통산업: 보호받으면 미국 제조업이 좋아집니까?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삼성증권 [산업리포트] 트럼프 대통령 2기와 전통산업: 보호받으면 미국 제조업이 좋아집니까? / 김도현 / 2024-12-02✅자국 우선주의 정책이 미국 전통 제조업에 부정적인 세 가지 이유✅새로운 행정부의 정책과 관련된 테마는 수요의 확대 잠재력을 중심으로 접근할 필요✅관심을 가질 수 있는 트럼프 2기 정책 테마 네 가지 및 관련 대표 기업들 WHAT’S THE STORY? 2025년 1월은 트럼프 2.0의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는 시기입니다. 자국 산업보호의 기치를 치켜세우는 새로운 행정부의 정책들로 인해, 미국의 전통 제조기..

NH투자증권 [글로벌 인프라] 2024.12 북미 오일&가스 미드스트림: Q 증가 기대감 장기화

NH투자증권 [글로벌 인프라] 2024.12 북미 오일&가스 미드스트림: Q 증가 기대감 장기화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NH투자증권 [글로벌 인프라(Issue)] 북미 오일&가스 미드스트림: Q 증가 기대감 장기화 / 2024.12.02 / 정연우 ▶ 트럼프 당선으로 추가 상승 모멘텀을 얻은 오일&가스 미드스트림 산업친화석연료 성향을 가진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선 승리 이후 미국 에너지 산업 전반에서 기대감 고조 - 에너지 가격 움직임에 대한 민감도가 높은 미국 오일&가스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 산업은 연초 이후 상대적으로 부진한 성과를 기록한 반면, 에너지 가격 (P)보다는 생산량(Q)에 의해 성과가 좌우되는 미드스트림 섹터는 연초 이후 상승세 지속 - 한편..

미래에셋증권 [글로벌 자산배분] 12월 트럼프 1기와는 다른 트럼프 트레이드

미래에셋증권 [글로벌 자산배분] 12월 트럼프 1기와는 다른 트럼프 트레이드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미래에셋증권 [글로벌 자산배분] 12월 트럼프 1기와는 다른 트럼프 트레이드, 2024-12-02, 박희찬 외1트럼프 1기와는 다른 트럼프 트레이드  1) 트럼프 1기와는 다른 트럼프 트레이드- 미국 대선 이후, 미국 증시 강세 속 미국 - 미국 외 증시 차별화, 강달러 진행.- 미국채 금리도 선거 직후 상승. 하지만, 그것은 오래가지 않았고 11월말에는 대선 이전 수준으로 하락.- 2016~17년 상황과 차별적인 부분 잘 따져야 함. 당시와 반대로, 지금은 경기 둔화 및 연준 금리인하 국면. 채권시장은 이런 면을 반영하기 시작. 주식 및 외환 시장 분위기도 ..

DB금융투자 [전략의 샘] 2024.12 Greater Fool Theory

DB금융투자 [전략의 샘] 2024.12 Greater Fool Theory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DB [전략의 샘] Greater Fool Theory / 강현기 / 2024-12-01 ✅엔비디아 주가는 매출액 증가율의 궤적과 함께 움직여 왔던 모습을 더 이상 보이지 않아✅미국 대선 과정에서 재정지출 확대로 풀렸던 유동성이 엔비디아 주가에 묻었을 수 있어✅향후 엔비디아 주가 변동성 커질 때 미국 주식시장의 동요로 한국 주식시장 추가 하향 가능 통상 주식시장에서 주도주라 불리는 것은 그 당시 성장률이 가장 높은 주식이다. 엔비디아 주가 역시 이와 같은 틀에서 움직였다. 그 성장률이 낮을 때 웅크렸다가 성장률이 높아지자 주가가 솟아올랐다. 다만 어느 순간부터..

[24.12.08] 주간시황기록, 키워드

3대 주요 지수 모두 사상 최고치 기록 테슬라 주가, 자율주행택시 기대감으로 3.2% 상승 기술주 주도 상승, AI 기대감 반영 미 고용 시장 안정세, ADP 민간고용 14.6만 증가 미국 노동 시장: 10월 구인 건수 774만 건, 예상 상회 테슬라와 슈퍼마이크로컴퓨터 주가 상승으로 대형 기술주 강세 한국 비상 계엄 선포에 금융시장 출렁 11월 미국 제조업 PMI 지표, 전월 대비 개선되었으나 여전히 수축 국면 지속 12/09 (월) 미국 11월 소비자기대인플레이션 12/10 (화) 미국 3분기 비농업생산성, 단위노동비용 12/11 (수) 미국 11월 소비자물가지수 12/12 (목) 미국 11월 생산자물가지수 12/13 (금) 글로벌 12월 마킷 제조업지수, 서비스업지수다음 주 주요실적발표 12/09 ..

NH [전략 인사이드] 2024.11 트럼프 2기 내각, 중앙집권체제로 구성

NH [전략 인사이드] 2024.11 트럼프 2기 내각, 중앙집권체제로 구성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NH [전략 인사이드] 트럼프 2기 내각, 중앙집권체제로 구성, 2024.11.26, 조연주 트럼프 2기 내각은 오직 충성심을 기준으로 구성되고 있으며 개혁이 필요한 분야는 대통령 직속 임명을 통해 정책 실행 가능성을 높이고 있음. 집권 초기 정책 노이즈 확대될 수 있으나 실현 타이밍을 냉정하게 분석할 필요 있음. ▶ ‘왕권 강화’를 핵심으로 하는 Loyal Cabinet트럼프 1기 내각은 정치 경험이 많지 않고 각 분야별 전문성을 가진 기업인 또는 전문가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나 이들이 자신의 전문 분야에 대한 소신 발언을 해 내부적 갈등이 커졌음. 이에 트럼프..

NH투자증권 [자산배분] 2023.12 하우스뷰: 트럼프 트레이드와 ‘밈(Meme)’ 주식

NH투자증권 [자산배분] 2023.12 하우스뷰: 트럼프 트레이드와 ‘밈(Meme)’ 주식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NH [자산배분] NH 하우스 뷰 12월호 트럼프 트레이드와 ‘밈(Meme)’ 주식, 2024.11.28, 하재석 트럼프 트레이드와 ‘밈(Meme)’ 주식 금융시장에서는 미국 대선을 전후로 정책 효과가 크게 반영되고 있습니다. 트럼프 당선인의 미국 우선주의와 보호무역주의는 미국과 여타 지역 주식시장의 차별화를 야기하고 있으며, 정책 수혜가 예상되는 업종과 테마, 자산의 가격이 크게 상승했습니다. 다만, 단기적인 시장의 반응과 실제 정책 효과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2016년 11월 트럼프 첫 번째 당선 직후에도 ..

삼성증권 [투자전략] 2024.11 2025년 미중 투자 전략: Round 3, Trumponomics와 Xinomics

삼성증권 [투자전략] 2024.11 2025년 미중 투자 전략: Round 3, Trumponomics와 Xinomics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삼성증권 [투자전략] 2025년 미중 투자 전략: Round 3, Trumponomics와 Xinomics / 전종규/박혜란 / 2024-11-25트럼프 2.0에 따라 25년 글로벌 금융시장의 다이내믹스는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 전방위적인 관세 인상 예고, 정책의 급진적 변화 등 일련의 불확실성이 중첩되어 주식시장의 진폭을 크게 높일 가능성. 그 가운데서 미국 주식시장의 우위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2025년 S&P 500 밴드: 5,600~6,800pt그간 숱한 우려에도 미국 경기는 골디락스 국면에 진입. 침체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