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H [전략 인사이드] 2025.07 다가올 美 정책 수혜주 찾기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며 기관의 투자논리를 엿보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NH [전략 인사이드] 다가올 美 정책 수혜주 찾기, 2025.07.03, 조연주
중동발 불확실성 해소에 따른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 높아지며 미국 주식시장은 전고점 돌파. 트럼프 대규모 감세안은 빠르게 추진 중. 7월 관세 이슈 재점화 및 밸류에이션 부담에 따른 주가 조정은 오히려 기회. 정책 모멘텀이 유효한 미국 주식시장에서 수혜 기업군을 제시
▶ 7월 관세 정책 불확실성은 기회 요인
7월은 트럼프 상호관세 유예 종료에 따른 불확실성이 재차 확대 가능한 시기. 다만, 이러한 트럼프 패턴은 이미 확인. 2019년 중국 관세 유예 이후 협상 난항에 미국 주식시장은 등락을 반복하는 박스권 흐름 시현.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수 저점은 계속 높아졌음. 트럼프 2기에는 학습효과로 이러한 불확실성 국면이 더 단축될 전망. 흔들릴 때가 오히려 기회.
▶ 임박한 여러 정책 카드, 통화 + 감세 + 규제
트럼프 1기 국면에서 주식시장이 박스권을 뚫고 상승했던 시기는 2019년 9월 연준의 금리 인하 이후. 과거 지속적인 트럼프 관세 부과에도 주가지수는 오히려 상승. 트럼프 2기에는 통화정책 기대감 외에도 트럼프 대규모 감세안(OBBB) 통과가 임박. 통과 시 부채한도, 정부 셧다운 등 워싱턴 리스크 해소 가능. 또한, 미국 경기 둔화 압력을 약화시킬 전망.
한편, 하원 대비 상원 감세안 규모가 커지면서 금리 상방 우려 확대. 이는 오히려 금융 규제 완화 정책 속도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 이미 대형 은행들은 스트레스 테스트 기준 완화되며 2025년 배당 확대를 발표. 추후 SLR 및 자본금 규제 완화 등 공격적인 금융 규제 완화 정책 예상.
▶ 트럼프 감세 정책 및 금융 규제 완화에 따른 수혜 기업 관심
트럼프 감세안에서 비중이 크게 늘어난 부분은 기업들에 대한 비용공제 혜택. R&D 및 기계 비용에 대한 감가상각 가속화가 핵심. CAPEX 투자 비중이 높고 과거 트럼프 1기 국면에서 수혜를 본 운송, 자본재, 유틸리티, 통신, 미디어/엔터 등 관심.
금융 규제 완화 및 새로운 코인 법안은 전에 없던 새로운 매출처 형성. 은행들의 자본력은 물론 주주환원정책 및 M&A 기회도 확대될 전망. 수수료 및 페널티 Fee 등이 추가 매출로 인식될 수 있어 은행 섹터에 관심 필요.


'투자 카테고리1 > 투자 [Hous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삼성증권 [산업리포트] 2025.07 꾸미치 않은 가치에 반하다!: 평범하지만 믿음직한 유럽의 대표 에너지 기업들 (0) | 2025.07.17 |
|---|---|
| NH [미국 자율주행 및 로봇 산업] 2025.07 Physical AI 시대의 개막 (0) | 2025.07.10 |
| 삼성증권 [투자전략] 2025년 하반기 미-중 투자전략: Searching for α (1) | 2025.07.03 |
| NH [글로벌전략] 2025.07 총성이 멈추면 자금이 움직인다: 정책 효과 시작 (0) | 2025.07.02 |
| NH투자증권 [한국 주식 투자전략] 하반기 포트폴리오 전략의 핵심: 더블엣지 (1) | 2025.06.26 |